[국제] [속보] 美·EU, 무역협상 타결...트럼프 "EU 관세 일괄 15%"
-
5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7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턴베리 골프 리조트에서 양측 간 무역협정 타결 소식을 전하며 악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27일(현지시간) 모든 EU산 상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무역협정을 타결했다.
이날 백악관 공동 취재단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회담을 가진 뒤 “EU와 합의에 도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합의 사실을 확인하면서 “이 합의는 안정성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산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품목에 일괄 15%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이 지난 22일 일본 정부와 타결한 관세율도 15%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EU가 7500억 달러(약 1038조 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합의했으며, EU가 현재 미국에 투자하고 있는 금액보다 앞으로 6000억 달러(약 830조 원)를 더 투자할 것이라고 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협상의 출발점은 불균형이었다. 우리(EU) 쪽은 흑자였고 미국 쪽은 적자였다”며 “우리는 정확히 원하는 균형을 찾았다고 생각한다. 양측 간 무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고 협상 결과를 평가했다. 다만 미국이 전 세계 철강ㆍ알루미늄에 부과하는 50%의 품목별 관세는 이번 합의와는 별도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반도체 관세와 관련해 “우리는 2주 후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반도체 관세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안보에 위협된다고 판단될 경우 상무장관이 위험 완화 방안이 담긴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하면 대통령이 관세를 통한 수입 규제 등 조치를 결정하는 내용이다. 미 상무부는 반도체뿐 아니라 의약품 등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