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출 규제 영향 받은 마포·강남…가격 하락·풍선 효과는 없었다
-
1회 연결
본문
서울에서 집값이 급등했던 지역일수록 6·27 대출 규제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가 급감하고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다. 다만 가격 급락이나 풍선 효과는 아직 나타나진 않고 있다.
2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6·27 규제 전 2주 동안 0.83% 올랐지만, 최근 2주간은 0.35% 상승에 그쳤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규제 전후 상승률 하락폭이 가장 큰 지역은 마포구다. 규제 직전 2주 동안 1.83% 올랐지만 최근 2주간은 0.35% 상승했다. 변동폭이 마이너스 1.48%포인트다. 다음은 강남구(-1.28%포인트), 성동구(-1.06%포인트), 강동구(-1.03%포인트) 순이었다. 송파구(-0.84%포인트)와 용산구(-0.82%포인트), 서초구(-0.82%포인트) 등도 변동폭이 컸다. 규제 직전 집값이 과열됐던 지역이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지역도 상승률이 0.02~0.07%포인트 꺾였다.
매매도 줄었다. 28일 기준으로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1811건이다(서울부동산광장). 7월엔 2243건으로 급감했다. 7월분 실거래 신고 기한이 한 달가량 남았지만 현재 추세를 보면 5000건 이하가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시장에서 폭락은 없었다. 매물 자체가 줄었지만, 호가도 크게 내리지 않았다는 게 현장의 얘기다. 강남구 대치동에 있는 A 공인중개사 대표는 “호가를 5% 정도 내린 급매가 간혹 나오지만, 가격을 낮추느니 매물을 거두는 집주인이 많다”고 전했다. 마포구의 B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최고가보다 1억~2억원 정도 낮춘 매물은 바로 거래가 되거나 문의가 몰리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대기 수요가 여전하다는 얘기다. 남혁우 우리은행 부동산컨설턴트는 “매도자 입장에선 공급 부족과 금리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커서 호가를 내리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직은 풍선 효과도 없다. 서울에서 7월 2~3주차 아파트값 상승률이 규제 직전 2주보다 높은 곳은 관악구가 유일하다. 경기 과천(1.45→0.77%)과 성남 분당(1.84→0.75%)은 상승률이 줄었다.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꺾인 데다 계절적 비성수기, 임차 수요 감소 등이 겹친 결과로 풀이된다. 다주택자의 갭투자가 원천 차단되고 취득세 중과 등 규제가 여전해 투자자 유입이 제한적인 것도 한 요인이다. 남혁우 컨설턴트는 “추가 수요 억제책이나 공급 대책이 나오기 전까지 매도·매수자 관망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