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제주시청 직원, 종량제봉투 대금 수억원 횡령…제주시장 사과

본문

17537699635943.jpg

제주시 종량제 봉투. 연합뉴스

제주시청 소속 직원이 수년간 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대금 수억원을 빼돌린 사실이 드러났다. 제주시는 해당 직원을 경찰에 수사의뢰하고 관리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에 착수했다.

제주시는 29일 “생활환경과 공무직으로 근무 중인 30대 A씨가 종량제봉투 판매대금을 수년간 횡령한 혐의로 적발돼 경찰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시는 A씨의 횡령액이 약 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A씨는 지정 판매소에 종량제봉투를 배달한 뒤 현금으로 대금을 수령하고 이를 전산상 ‘주문 취소’ 처리해 금액을 가로챈 것으로 조사됐다.

장기간 이어진 범행은 최근 한 판매소에서 영수증 재발급을 요청하면서 발각됐다. 해당 건은 전산상 주문 취소된 건이었고 추가 사례를 확인해보니 봉투는 배달되고 판매대금은 세입 처리되지 않은 건이 여러 건으로 파악되면서 들통났다.

김완근 제주시장은 이날 시청 기자실에서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며 “시정 최고 책임자로서 시민 여러분께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종량제봉투 대금 수납과 관련한 내부 감독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고, 이를 사전에 바로잡지 못한 명백한 실수가 있었다”며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김 시장은 “횡령을 저지른 직원은 범죄사실을 인지한 즉시 직무에서 배제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수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해당 직원과 직무 감독자에 대한 문책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횡령된 재원 회수와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17537699641288.jpg

사과문을 발표한 김완근(왼쪽 두번째) 제주시장. 사진 제주시

제주도는 즉각 제도 보완에 나섰다. 우선 봉투 대금의 현금 결제를 전면 폐지하고 신용카드 및 계좌이체 방식으로만 결제를 허용해 담당자의 현금 취급을 차단하기로 했다.

아울러 재고 및 주문 관리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한다. 기존 전화 주문 방식을 온라인 주문·결제 시스템으로 개선하기 위해 1000만원의 사업비를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했다.

입고·출고 기록을 담은 수불부도 매일 작성하고, 월 1회 정기 재고 확인을 통해 장부와 실제 물량의 불일치를 점검한다.

이와 함께 종량제봉투 배달 담당자에게 2년 주기의 순환근무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특정 업무에 장기 근무하는 데 따른 내부 통제 사각지대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5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