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죠스가 나타났다" 영화 아니다…경포대선 이 장치 필수템 됐다 [르포]

본문

17538203342256.jpg

지난 25일 강원 강릉시 안목해수욕장에 상어와 해파리의 접근을 막는 유해 생물 방지망이 설치돼 있다. 박진호 기자

경포해변 방지망 200~300m 추가 설치 검토 

지난 25일 오후 강원도 강릉시 경포해수욕장. 안전감시탑 주변에서 3명의 수상안전요원이 물놀이 중인 피서객들을 지켜보고 있었다.

백사장에서 50m 떨어진 바다 위엔 수영한계선이 있고, 앞쪽엔 상어와 해파리 등 유해 생물의 접근을 막는 방지망이 설치돼 있었다. 2곳에 설치된 방지망의 총 길이는 600m, 높이는 3m, 그물코는 손가락 두 개가 겨우 들어갈 정도로 촘촘했다.

수상안전요원들이 대기하는 테이블엔 개인부착형 상어퇴치기가 놓여 있었다. 상어가 나타나면 수상안전요원들은 상어퇴치기를 착용한 후 곧바로 물속으로 들어간다.

상어퇴치기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방식이다. 상어는 자기장에 노출되면 위협적이거나 불쾌하다고 판단해 더는 접근하지 않는다. 현재 경포해수욕장엔 개인부착형 상어퇴치기 19대와 수상오토바이에 설치하는 상어퇴치기 2대가 배치됐다.

17538203344562.jpg

지난 25일 강원 강릉시 안목해수욕장에 상어와 해파리의 접근을 막는 유해 생물 방지망이 설치돼 있다. 박진호 기자

수상안전요원 상어퇴치기 활용 훈련 진행 

현장에서 만난 이호찬(25) 수상안전요원은 “이달 초 인근 해수욕장에서 상어가 목격돼 상어퇴치기를 활용한 훈련을 하고 있다”며 “피서객들의 안전을 위해 순찰도 수시로 진행한다”고 말했다.

인근 안목해수욕장에도 700m 구간에 유해 생물 방지망이 설치됐다. 개인부착형 상어퇴치기도 3대가 배정됐다. 안목해수욕장에서 3㎞ 떨어진 바다에선 지난 7일 상어가 목격됐다. 낚시하던 낚시꾼이 상어를 발견했는데 몸길이 2m가 넘는 청새리상어였다. 당시 청새리상어는 낚싯배 주위를 배회하더니 해변 쪽으로 방향을 틀어 유유히 사라졌다.

지난 17일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항 동쪽 약 3.7㎞ 바다에서 한 낚시객이 상어를 낚아 올렸다. 이 상어는 길이 약 70㎝로 청상아리로 확인됐다. 당시 청상아리를 낚아 올린 낚시객은 해경에서 “묵직한 것이 월척이다 싶어 끌어올렸더니 상어여서 깜짝 놀랐다”고 진술했다.

1753820334695.jpg

지난 17일 오전 9시 55분 강원 고성군 현내면 대진항 동쪽 약 3.7㎞ 해상에서 한 낚시객의 낚싯대에 상어가 건져 올라왔다. [사진 속초해경]

올해 현재까지 상어 19건 출몰 

손민우 강릉시 관광정책과 주무관은 “아직까진 상어와 해파리 등이 해변 근처에서 발견되고 있진 있지만,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 피서객이 가장 많은 경포해수욕장 200~300m 구간에 방지망을 추가로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동해안에서 상어 출몰은 매년 증가 추세다. 2022년엔 1건이었는데 2023년 29건으로 늘더니 지난해 44건으로 급증했다. 올해도 벌써 19건이나 된다.

문제는 동해안에서 사람을 공격할 수 있는 ‘백상아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백상아리는 영화 ‘죠스(Jaws)’로 유명한 상어다. 최대 몸길이가 6.5m 내외로 상어 가운데 가장 난폭한 종으로 ‘식인상어’로도 불린다.

지난해 5월 경북 울진군 후포항 인근에서 길이 2m가 넘는 백상아리가 잡혔고, 2023년 6월 강원 속초시 장사항 인근에서도 2m에 가까운 백상아리가 발견됐다. 과거 서해안에서 주로 목격되던 백상아리가 동해안에서도 출몰하면서 지자체마다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7538203349604.jpg

지난 25일 강원 강릉시 경포해수욕장에 상어와 해파리의 접근을 막는 유해 생물 방지망이 설치돼 있다. 수상안전요원이 개인부착형 상어퇴치기를 착용한 모습. 박진호 기자

공격성 강한 백상아리 조심해야

더욱이 상어 중 가장 빠르고 공격성이 강한 청상아리 출현도 잦아지고 있다. 지난해와 올해 현재까지 동해안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상어가 청상아리다. 총 32건에 이른다. 이어 악상어 16건, 청새리상어 11건, 무태상어 2건, 백상아리 1건, 귀상어 1건 씩이다. 최근 발견되는 청상아리의 크기는 2~3m로 상당히 큰 편이다.

국내에서 상어로 인한 인명피해는 모두 7건이다. 1959년 7월 충남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에서 수영하던 대학생이 상어에 물려 희생되는 등 지금까지 6명이 숨졌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보령 등 서해안에서 피해가 집중됐다.

이처럼 상어 출현 해역 분포가 넓어지고 잦아진 것은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수온 상승 영향이 가장 크다.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4월 발간한 ‘2025 해양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브리핑 북’을 보면 지난 57년간(1968~2024년) 한반도 해역의 표층 수온은 1.58도 상승해 전 지구 표층 수온 상승도(0.74도)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동해 2.04도, 서해 1.44도, 남해 1.27도 등으로 나타나 동해의 상승 폭이 가장 컸다.

17538203352347.jpg

2023년 7월 6일 오전 강원 삼척시 임원항 동방 약 3.7km 해상에서 정치망 어선 A호(24t급) 그물에 걸려 죽은 백상아리. [사진 동해해경]

상어 출현 분포 넓어진 건 수온 상승때문

이에 따라 강원도는 올해 처음으로 도비 4500만원 등 총 1억5000만원을 투입해 동해안 14개 주요 해수욕장에 유해 생물 방지망 설치를 지원한다. 강릉 안목ㆍ주문진, 동해 추암ㆍ망상, 속초 외옹치ㆍ등대, 삼척 해수욕장, 고성 화진포ㆍ백도ㆍ자작도, 양양 물치ㆍ중광정ㆍ동호 등 14곳이다.

애초에는 1개소당 1500만원의 설치비를 기준으로 6개 시군 10개소 설치를 계획했으나 어업인의 협조로 실질 단가를 대폭 낮춰 총 14개소에 설치가 가능하게 됐다. 김진태 강원지사는 “이상 고온 현상으로 상어와 해파리 등 유해 생물이 출몰하는 달라진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수산과학원이 2023년에 발표한 ‘한국 연근해 상어 분류 도감’을 보면 전 세계 상어 500여종 가운데 사람을 공격한 상어는 총 33종이다. 그중 사람을 가장 많이 공격한 상어가 백상아리다. 그동안 전 세계적으로 상어가 사람을 공격한 사례는 949건에 달한다.

17538203354666.jpg

2023년 7월 3일 강원 속초해수욕장에 상어와 해파리의 접근을 막는 유해 생물 방지망이 설치되고 있는 모습. [사진 속초시]

"이제 상어 방지망은 필수 안전장치"

이중 치명상은 142건, 비치명상은 807건이다. 백상아리의 공격이 351건으로 가장 많다. 이어 뱀상어 142건, 황소상어 119건, 흉상어류 51건, 비만상어 36건, 남방상어 35건, 수염상어류 31건 순이다.

현재 국내 연근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상어는 49종이다. 이 중 몸길이가 3m 넘는 상어는 10여 종, 사람에게 위협적인 상어는 백상아리를 비롯해 4~5종 정도다. 전 세계적으론 500여종의 상어가 분포해 있는데 일부 종은 전문가도 구분하기 어렵다고 한다.

국내 상어 전문가인 최윤 군산대 해양생물자원학과 명예교수는 “백상아리는 과거엔 동해안 위쪽에서는 좀처럼 보기가 쉽지 않은 어종이었는데 열대 해역에 분포하는 상어가 해수온 상승에 따라 점차 올라오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제는 상어 방지망이 과잉 대응이 아니라 필수 안전장치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관광객이 몰리는 비지정 해변에도 선별적 예산 투입을 고려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64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