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러 캄차카반도 8.7 '초강진'…日 대피령 "…
-
4회 연결
본문

30일 러시아 극동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강력한 지진으로 인해 최대 3m 높이의 쓰나미가 해안 지역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속보가 도쿄에서 방송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30일 오전 11시 24분(현지시간, 한국시간 오전 8시 24분)쯤 러시아 캄차카반도 동쪽 바다에서 규모 8.7 지진이 발생했다. 이에 일본은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와 함께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 발생지인 러시아는 물론 쓰나미 영향 지역인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해안에도 대피령이 발효됐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를 인용한 기상청에 따르면 지진 발생 지점은 캄차카반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동남동쪽 133km 해역(위도 52.47N, 경도 160.40 E), 진원의 깊이는 19㎞다. USGS는 당초 지진 규모를 8.0으로 발표했다가 8.7로 상향 조정했다.
이날 지진에 일본 기상청은 오전 8시 37분 홋카이도에서 규슈까지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주의보를 내렸다. 이후 오전 9시 40분에는 쓰나미 경보로 상향했다. 예상되는 쓰나미의 높이는 1~3m다. 쓰나미 도달 예상 시간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동부 오전 10시, 후쿠시마현 오전 11시, 미야자키현 낮 12시 30분 등이다. 오전 10시 30분에는 홋카이도 네무로시 하나사키에서 30cm 높이의 쓰나미가 관측됐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에 쓰나미 경보(빨간색)와 주의보(노란색 부분) .사진 NHK 캡처
NHK는 오전 9시 47분 쯤 쓰나미 예상 지역 주민들에게 가능한 높은 곳으로 서둘러 대피라고 긴급보도했다.
일본 기상청이 예상한 쓰나미 높이는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동부(예상 높이 3m)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중부(예상 높이 3m)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 서부(예상 높이 3m)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예상 높이 3m) ▶이와테 현(예상 높이 3m) 3m) ▶지바현 구주쿠리·외방(예상 높이 3m) ▶후쿠시마현(예상 높이 3m) ▶지바현 내방(예상 높이 3m) ▶이즈 제도(예상 높이 3m ) ▶사가미만·미우라 반도(예상 높이 3m) ▶오가사와라 제도(예상 높이 ▶아이치현 외해(예상 높이 3m) ▶미에현 남부(예상 높이 3m) ▶와카야마현(예상 높이 3m) 등이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당국도 쿠릴 열도와 사할린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타스는 전기가 정전되고 무선 통신 장애가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신재민 기자
지진 발생 직후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는 하와이·알래스카·워싱턴·오리건·캘리포니아 등 서부 해안에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괌·하와이에는 1~3m의 쓰나미가 예보됐다. 마셜 제도와 팔라우, 필리핀 등에는 0.3~1m의 쓰나미가 예상됐다. 한국과 북한, 대만에도 0.3m 미만의 쓰나미가 예보됐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으로 인해 한반도에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울릉도 인근에 5시간 이내로 수위가 올라갈 수는 있으나 한반도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30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부에서 발생한 규모 8.7의 지진 이후 쓰나미 경보(빨간색), 주의보(주황ㆍ노란색), 위협(보라색) 지역을 보여주고 있다. AFP=연합뉴스
한편 이번 초강진에 따른 여진도 이어지고 있다. USGS 분석결과를 인용한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9분 53초(한국시간)에 첫 지진 발생 인근 지점인 러시아 캄차카반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남동쪽 142km 해역(위도 52.08 N, 경도 160.08 E)에서 규모 6.9의 또다른 지진이 발생했다. 두번째 지진의 진원 깊이는 10km다. 이어 9시 16분 03초에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남남동쪽 129km 해역(위도 52.04 N, 경도 159.68 E)에서 규모 6.3, 진원 깊이 10km의 세번째 지진이 이어졌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