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기대수명 83.5세...OECD 평균보다 2.4년 길어

본문

17538527746637.jpg

한국과 OECD의 기대수명 추이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이 83.5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웃도는 반면, 자살률은 20년 넘게 OECD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영향으로 의료비 증가율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과체중 인구도 점차 늘고 있다.

30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OECD 보건통계 2025’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평균(81.1년)보다 2.4년 길었다. 기대수명은 해당 연도 출생아가 평균적으로 생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수를 의미한다.

영아사망률 역시 OECD 평균(출생아 1,000명당 4.1명)보다 낮은 2.5명을 기록했다.

자살률은 여전히 OECD 최고…감소 속도는 빨라

높은 기대수명과 개선된 의료 환경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자살률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은 23.2명으로, OECD 평균(10.7명)의 두 배가 넘는다.

다만 자살률은 2012년 30.3명에서 2022년 23.2명으로 23.4% 감소했다. 이는 같은 기간 OECD 평균 자살률 감소율(16.4%)보다 빠른 속도다.

GDP 대비 의료비 비중은 낮지만 증가세는 가팔라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의료비 비중은 8.5%로, OECD 평균(9.1%)보다 낮았다. 그러나 고령화 영향 등으로 1인당 경상의료비는 연평균 7.8% 증가해 OECD 평균 증가율(5.2%)을 크게 웃돌았다.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는 구매력평가(PPP) 기준 4586달러(약 634만 원) 수준이다.

전체 의료비 중 정부와 건강보험 등 공적 지출 비중은 2013년 55.9%에서 2023년 60.4%로 증가했고, 가계 직접 부담은 같은 기간 38.3%에서 31.2%로 낮아졌다.

의약품 판매액은 1인당 969달러로, OECD 평균(658달러)을 300달러 이상 초과했다.

흡연율은 높고, 음주량은 낮아…과체중 인구는 증가세

2023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의 매일 흡연율은 15.3%로, OECD 평균(13.2%)보다 높았다. 다만 흡연율은 2013년 19.9%에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주류 소비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연간 1인당 순수 알코올 소비량은 7.8리터로 OECD 평균(8.6리터)보다 적었다.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2023년 36.5%로, 일본(26.0%) 다음으로 낮았지만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2013년 31.5%에서 10년 사이 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83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