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中스텔스기, 대한해협 동수로 지나갔는데…"한·일 모두 몰랐다"

본문

17538636271928.jpg

중국 J-20 스텔스 전투기. 중앙포토

중국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젠(殲)-20(J-20)이 최근 대한해협 동수로(일본명 쓰시마 해협)를 비행한 사실이 확인됐지만, 한국과 일본군 당국 모두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29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중앙TV(CCTV)는 지난 27일 인민해방군 창설기념일(8월 1일)을 앞두고 방영한 특집 시리즈에서 엘리트 공군부대인 제1항공여단이 “바시해협과 쓰시마 해협(대한해협 동수로)을 비행하며 대만 주변을 순찰한다”고 언급했다. 방송 전반에 걸쳐 최신예 J-20 전투기의 모습이 등장했고, 제1항공여단은 J-20이 가장 먼저 배치된 부대란 점에서 J-20이 직접 임무를 수행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SCMP는 분석했다. CCTV는 J-20의 구체적인 비행 시점이나 작전 명칭을 명시하진 않았다.

CCTV군사채널은 해당 영상을 공식 웨이보 계정에 게재했고, 인민일보도 이를 공유했다. 이는 중국이 자국의 스텔스기 능력을 과시하고 역내 전략적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번 비행이 단순한 전력 시위 이상의 의미를 갖는 셈이다.

SCMP는 “쓰시마 해협은 한국과 일본 사이의 좁고 전략적인 수역으로, 동해와 동중국해를 잇는 요충지”라며 “해당 지역은 미군의 사드(THAAD) 체계를 포함해 미국·한국·일본의 첨단 레이더 감시망이 집중된 구간”이라고 짚었다. 그런데도 이번 J-20의 통과는 한국과 일본 어느 쪽에도 탐지되거나 내부적으로 보고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게 매체 설명이다.

중국 군사 블로거들도 관련 내용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블로거인 단란샤오쓰(淡然小司)는 “이론상 한국과 일본의 레이더는 쓰시마 해협 전역을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번 미탐지 사례는 J-20의 스텔스 성능이 이미 한미일의 첨단 레이더를 회피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J-20은 중국이 미국의 F-35에 맞서기 위해 개발한 5세대 스텔스기다. 특수 코팅과 구조 설계를 통해 레이더에 노출되는 단면의 크기가 F-35에 비견되는 정도라고 중국 당국은 설명한다. 중국은 연간 120대의 J-20을 생산하고 있고, 올해 말까지 400대를 운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17538636274124.jpg

박경민 기자

중국 군용기의 대한해협 동수로 진입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과 2017년에도 구형 J-11 전투기 및 H-6K 폭격기 등이 해당 수역을 통해 동중국해에서 동해로 비행한 바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중국군 함정이 대한해협 동수로를 지나 동해에 진입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들이 동해와 남해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했다가 이탈했다.

다만 SCMP는 중국 당국의 J-20 비행 공개를 일본에 대한 견제라는 측면에 더 무게를 뒀다. SCMP는 “이달 초 일본과 중국은 동중국해에서 양국 군용기 간 근접 접근을 두고 서로 비난을 주고받았다”며 “CCTV의 보도는 중국 인민해방군 창립 98주년을 앞두고 베이징과 도쿄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왔다”고 했다.

관련기사

  • 트럼프가 '47대 대통령'이라서? F-47에 밀린 해군 전투기 개발 [밀리터리 브리핑]

  • 中, 대만침공 위한 세번째 항모 '푸젠' 서해서 시운전…주한미군 차단 훈련 했나

  • "대만해협, 韓에 중요" 88%…"군사충돌땐 파병" 13%뿐 [새정부 외교에 바란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84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