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서도 안전사고 3건 났다"…'李대통령 질타…

본문

17538694882872.jpg

30일 오전 광주광역시 서구 광주시의회 기자실에서 시의원들이 '광주SRF 협약 의무 위반한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공개질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포스코이앤씨 산재 사고를 질타한 가운데 광주광역시와 광주시의회 등이 “포스코이앤씨의 광주 사업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의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시의원들은 30일 오전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이앤씨가 운영 중인 남구 양과동 ‘가연성 폐기물 연료화사업(SRF)’시설에서 최근 발생한 3건의 사고를 지적하며 안전관리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17538694885097.jpg

광주광역시 가연성 폐기물 연료화 시설(SRF). 사진 광주광역시

광주SRF 시설에서는 지난 2월 28일 건물 외부 도로에서 지게차로 적재물을 반출하던 중 적재물이 미끄러져 30대 협력업체 근로자가 부상을 입었다.

앞서 지난해 10월 24일에는 60대 환경미화원이 폐기물을 반입하는 도중 5m 아래로 추락해 다쳤다. 2022년 9월 16일에는 건조기 진화 작업을 하던 20~40대 하청업체 근로자 3명이 화상을 입기도 했다.

17538694887495.jpg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이 지난 29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연이은 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한 담화문 발표에 앞서 관계자들과 사과 인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올해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 연이은 산업재해 사고로 노동자들이 숨진 사실을 언급하며 질타했다. 연합뉴스

광주시의원들은 또 포스코이앤씨 측이 광주SRF시설 운영 과정에서 운영비 보전 등을 둘러싸고 광주시에 대해 대한상사중재원에 거액의 중재를 신청한 것에 대해서도 비난했다.

앞서 포스코이앤씨 측은 “광주SRF에서 생산된 연료의 주 판매처인 나주 열병합발전소가 주민 반대로 인해 2018년부터 4년여간 가동을 중지해 매출이 줄고, 손해가 발생했다”며 중재를 신청한 바 있다.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심판은 3심제인 일반 민·형사 재판 등과 달리 한 번의 판단으로 종결되는 단심제다. 이번 중재 결과에 따라 손해배상액이 최대 21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7538694889731.jpg

전남 나주시 산포면 SRF 열병합발전소 전경. 중앙포토

광주시의원들은 “포스코이앤씨는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이어지는 와중에도 부도덕한 경영으로 공공사업 참여자의 책임과 윤리를 저버리고 있다”며 “광주시민의 혈세를 노린 비윤리적인 행태에 맞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주장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당초 포스코이앤씨는 하루 800t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하겠다고 계약했으나, 실제로는 500t 이하만 처리하고 있다”며 “광주SRF의 운영손실 책임은 포스코이앤씨에 있는데도 시민들에게 혈세를 부담시키려는 행태는 부도덕한 기업 운영의 전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이앤씨 측은 “광주SRF 시설은 하루 800t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된 게 맞다”며 “2023년부터 광주시로부터 현재까지 반입받는 하루 평균 폐기물은 약 500t 수준으로 의무위반 사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92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