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반기 수도권 착공·분양 동반 감소…2∼3년 뒤 공급난 우려

본문

17539283850354.jpg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경. 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주택공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들이 일제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주택시장이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공급 감소세를 이끌었다. 특히 수도권 내 착공·분양 물량마저 줄어들면서 중장기 공급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3만8456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7만3959가구로 22.7% 증가했지만, 지방은 6만4497가구로 28.0% 감소했다.

착공 실적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줄었다. 전국 착공 물량은 10만3147가구로 18.9% 감소했고, 수도권은 8.1%, 지방은 32.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6월 한 달간 수도권 착공은 전년 동기 대비 152.1% 급증했다.

분양 물량도 감소세를 보였다. 상반기 전국 분양 주택은 6만7965가구로 지난해보다 39.6% 줄었으며, 수도권은 18.4%, 지방은 56.7% 각각 감소했다. 서울 분양 물량은 655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0.3% 줄어드는 데 그쳤다.

통상 인허가는 3~5년, 착공은 2~3년 뒤 입주로 이어지는 만큼, 내년은 물론 중장기적인 공급 여건도 악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상반기 준공 실적은 20만5611가구로 6.4% 감소했다. 수도권은 10만1044가구로 9.2% 증가했지만, 지방은 10만4567가구로 17.7% 줄었다. 서울 아파트 준공 물량은 2만942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02.9% 급증했다.

한편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23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2만6716가구로, 전월보다 1.1%(297가구) 줄었으며, 일반 미분양은 6만3734가구로 4.4%(2944가구) 감소하며 5개월 연속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3939가구로 8.9%, 지방은 4만9795가구로 3.1% 각각 줄었다.

거래 시장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주택 매매량은 7만3838건으로 전월보다 17.8% 증가했다. 서울의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영향으로 4~5월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나, 6월에는 1만5442건으로 42.1% 늘며 반등했다.

전월세 거래는 24만2305건으로 전월보다 4.1% 줄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25.7% 증가했다. 상반기 기준 전체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61.4%로, 전년 대비 3.9%포인트 상승했다. 비아파트의 월세 거래 비중은 전국 75.2%, 지방은 82.4%에 달했다.

국토부는 공급 지표 감소가 장기적으로 시장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추후 공급계획 조정과 대책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