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끓는 바다만큼 무섭다, 양식장 떼죽음 부르는 '죽음의 물' [르…

본문

17539930674113.jpg

지난해 8월 경남 통영시 산양읍에서 고수온으로 떼죽음을 당한 어류가 고무 대야에 한가득 담겨 있다. 사진 통영시

지난 30일 오후 2시쯤 경남 통영시 산양읍에 있는 한 어촌마을. 기온이 32도까지 오른 가운데 마을 앞바다에 있는 참돔ㆍ우럭 가두리양식장에 햇볕을 막기 위한 가림막을 덮어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이 일대에서 30년 넘게 양식업을 하고 있는 이모(61)씨는 “올해는 장마가 없다시피 해 바닷물이 급격히 뜨거워졌고, 고수온(28도 이상)에 진입한 시점도 예년보다 이르다”며 “6월 말부터 항생제ㆍ영양제를 첨가한 사료를 먹이는 등 고기들이 고수온을 잘 견딜 수 있게 ‘보신’을 해뒀다. 하지만 올여름 무더위는 얼마나 길지, 또 떼죽음으로 이어지진 않을지 노심초사다. 늘 수온계를 들여다본다”고 말했다.

17539930676091.jpg

지난 30일 경남 통영시 산얍읍의 한 어촌마을 앞바다에 있는 참돔, 우럭 가두리양식장 위로 가림막이 덮여있다. 김민주 기자

3000만 마리 폐사 악몽… 고수온에 어민 떤다

통영 일대 해안에선 양식장 570여곳에서 어민 1800여명이 우럭과 참돔, 멍게, 굴 등 어패류를 길러내는 데 구슬땀을 쏟는다. 수온이 30도를 넘기는 등 바다가 끓다시피 했던 지난해 여름, 이들 어가 중 604곳에서 고수온 탓에 어패류가 폐사하며 499억원 상당 피해가 발생했다. 경남 전역으로 놓고 보면 어류ㆍ전복 등 2922만마리의 양식어패류가 폐사해 어가 952곳에서 659억원의 손해가 났다.

피해가 가장 컸던 통영에선 지난 28일 진해만에 고수온 주의보(수온 28도 이상)가 내려지면서 지자체와 양식어가 모두 비상이 걸렸다. 이씨는 “지난해 겪어보니 상품성 좋은 큰 물고기가 고수온에 약하더라”며 “양식장을 돌보려면 배를 타고 나가야 하는데, 무더위에 사람도 지친다. 평소보다 2시간 이른 오전 5시 양식장에 나가고, 오전 중에 먹이 공급 등 일을 마치고 서둘러 돌아온다”고 말했다.

17539930677949.jpg

지난해 8월 경남 거제시에서 귀어 5년차 황모(42)씨의 양식장에서 고수온으로 폐사한 조피볼락(우럭) 등이 둥둥 떠 있다. 사진 황씨

올여름 통영 일대 양식장에서 고수온 피해가 난 곳은 아직 없다. 통영시 관계자는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지기 이전부터 어가에 물고기 영양제와 가림막 등 피해 예방 물품을 보급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막대한 피해를 겪으며 권역별로 양식장엔 수온 측정 장비가 설치됐다. 어민은 휴대전화를 통해 이 장비가 잰 양식장 수온을 확인할 수 있다.

예측불가 ‘죽음의 물’ 산소부족물덩어리도 확산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올해는 ‘산소부족물덩어리’ 피해도 우려된다. 과학원은 “현재까지 경남 진해만과 통영 북신만, 고성 자란만, 한산ㆍ거제ㆍ진주만 등으로 산소부족물덩어리가 확산하고 있다”며 피해 주의를 당부했다.

1753993068007.jpg

지난해 8월 26일 경남 통영시 한 멍게 양식 어장에서 어민이 고수온에 내장이 터져 뿌옇게 보이는 폐사한 멍게를 건지고 있다. 연합뉴스

산소부족물덩어리는 용존산소의 농도가 낮은(1L당 용존산소 농도 3㎎ 이하) 물덩어리층이다. 통상 여름철 수온 상승으로 바다 표층과 저층의 수온 차이가 커진 상태에서, 육지의 유기물이 비를 타고 바다로 흘러들면 미생물 분해 과정에서 산소가 소비돼 ‘저산소화’ 된 물덩어리층이 곧잘 생겨난다. 수심 15m 아래 저층에서 먼저 나타나 표층 쪽으로 퍼진다고 한다.

산소부족물덩어리가 양식장에 진입하면 대량 폐사로 이어질 수 있어 어민 사이에선 ‘죽음의 물’ 혹은 ‘청수’ 등으로 불린다. 고수온과 산소부족물덩어리 확산에 동시에 맞닥뜨린 어민 어려움은 크다. 통영에서 만난 60대 멍게양식업자 진모씨는 “고수온 때는 멍게 양식봉을 수온이 더 낮은 저층으로 내린다. 그런데 청수는 저층에서부터 올라온다. 고수온 피하려다 청수에 당할 수도 있어,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경남도에 따르면 산소부족물덩어리로 인해 양식장에선 2023년 14억원, 지난해 73억원 상당 피해가 났다.

175399306823.jpg

지난해 여름 산소부족물덩어리 탓에 경남 고성군에 있는 굴 양식장에서 굴이 폐사했다. 사진 고성군

박성은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과 연구사는 “산소부족물덩어리는 예보도, 육안 식별도 어렵다. 멍게양식의 경우 양식봉을 저층에 내릴 때 U자형으로 구부리거나, 어패류 조기 출하 등 예방책은 있지만, 근본 대책은 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남해안 산소부족물덩어리 발생은 지난해와 비교하면 20일가량 늦고, 저층에서 표층으로 올라오는 강도가 덜하다. 하지만 극한호우 등을 동반한 태풍으로 바다에 흘러드는 유기물이 늘면 강도가 세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3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