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격노한 尹' 수사기록 회수 지시했나…특검, 조태용·이시원 조사
-
2회 연결
본문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이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특검팀은 조 전 실장을 상대로 채 해병 수사 결과가 대통령에게 보고된 경위 등을 조사했다. 중앙포토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이 채 해병 사건 수사기록이 경북경찰청에 이첩됐다가 회수된 과정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수사기록 회수를 지시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수사망을 좁혀가고 있다.
특검팀은 최근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지난달 29일)과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지난달 31일)을 잇달아 불러 심야까지 강도 높게 조사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이 전 비서관이 조 전 실장으로부터 “국방부에서 채 해병 사건 회수를 원한다”는 말을 들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에 특검팀은 조 전 실장 요청에 따라 이 전 비서관이 경북경찰청으로 이첩된 해병대수사단의 초동 수사기록을 회수하는 데 관여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당시 조 전 실장에게 “국방부 장관 지시를 무시한 (경북청으로의) 무단 이첩이 있었다”고 말한 정황도 확인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회수 지시를 했는지에 대해선 명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하진 못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 측은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제대로 조사하라고 한 것 외엔 명령을 내린 적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중앙일보에 “윤 전 대통령이 ‘부모가 자식을 군대에 안심하고 보낼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런 일(채 해병 사망)이 생기니 재발 방지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라고 했다고 전했다. “경찰수사가 이뤄지고 있지만, 행정적으로는 재발 방지 위한 조사도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발언했다는 게 윤 전 대통령 측 주장이다.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이 수사기록 이첩 전 상황을 인지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이 전 비서관은 채 해병 수사기록이 이첩됐다가 회수된 2023년 8월 2일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과 수차례 연락을 (통화 9회·문자 2회) 주고받았다. 이날은 해병대수사단이 수사기록을 경북청으로 이첩했다가 국방부 검찰단이 7시간여 만에 다시 회수한 날이다.
이 전 비서관은 특검에서 이첩이 이뤄지기 전엔 국가안보실 회의서 ‘VIP 격노’가 있었단 정황, 박정훈 대령이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어기고 수사기록을 경북청으로 이첩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단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반면 임 전 비서관은 국가안보실 회의 당일인 2023년 7월 31일에 이 전 비서관에게 해당 내용을 전달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특검팀은 핵심 관계자들의 진술이 엇갈리고 있는 만큼 조만간 조 전 실장 등을 다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