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하수 발암물질’ 검사 결과 비공개에 주민 불안…옆 동네엔 ‘발암물질 또 검출’

본문

17544755062604.jpg

본촌산단 지하수 오염 분포도. 본촌산단 지하수토양오염 실태조사 보고서 갈무리. 연합뉴스

광주광역시 북구가 1급 발암물질 검출 논란이 불거졌던 본촌산업단지 안팎의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문제가 된 2개 항목만 공개하고, 나머지 항목은 공개하지 않아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6일 광주 북구에 따르면 본촌산단과 인근 지역 총 13곳에서 지하수를 채취해 민간 업체에 수질검사를 의뢰한 결과 1급 발암물질인 TCE(트라이클로로에틸렌)과 PCE(테트라클로로에틸렌)이 불검출되거나 기준치 이내로 확인됐다. TCE와 PCE는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금속공업부품 세정제나 접착제 첨가제, 농약 등에 쓰인다.

하지만 북구는 TCE, PCE를 제외한 나머지 18개 생활용수 수질검사 항목에 대한 수치는 공개하지 않아 주민들이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18개 항목에는 TCE와 PCE 외에도 납, 수은, 비소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중금속과 유해물질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김종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모든 유해물질 항목을 공개하고 사용 가능 여부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 행정의 침묵은 시민들의 불안을 키울 수 있다”라고 했다.

17544755065186.jpg

지난달 16일 오후 광주 광산구청 앞에서 하남산단·수완지구 지하수 오염 시민대책위원회가 기자회견을 열고 광산구의 지하수 발암물질 오염방치를 규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대해 북구 관계자는 “해당 지역이 사유 시설인 탓에 정보 공개는 당사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나머지 항목 공개 여부는 내부 검토 중”이라며 “이번 13곳 대상 수질검사는 TCE가 검출된 곳과는 다른 지점으로, 유해물질 확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했다”고 말했다.

앞서 본촌산단 일대 지하수에서 수년간 방치된 오염 사실이 뒤늦게 들어나 논란이 일었다. 오염원은 옛 로케트건전지 공장과 호남샤시 부지로, 관련 법령이 공포되기 전인 1980~1990년대에 사용된 유해물질이 지하수에 잔류한 것으로 추정된다.

17544755067543.jpg

지난달 17일 오전 광주 광산구 하남산단 일대에서 지하수에서 발암물질이 측정된 것이 뒤늦게 드러나 강기정 광주시장과 시의회 환경복지위원들이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광주시

한편, 2년 전 발암물질이 검출됐던 광주 광산구 하남산업단지 지하수에서는 TCE가 추가로 검출됐다. 하남산단과 인근 지역 15곳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 2곳에서 부적합 판정이 나왔다.

앞서 광산구는 2023년 하남산단 지하수·토양 오염 실태조사 용역에서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TCE·PCE가 검출된 사실을 확인했음에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아 비판을 받았다.

이후 광산구는 발암물질 확산 우려가 커지자 하남산단 일대에 설치된 실사용 지하수 관정 245곳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질 검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135곳에 대해 검사를 진행한 결과 13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수질 개선 명령이 내려졌다.

광산구 관계자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업체들에 대해 수질 개선 명령을 내리고, 30일 이내에 개선이 되지 않을 경우 지하수법에 따라 강제 폐공 등 후속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광주 본촌산단 지하수서 1급 발암물질…수년째 알고도 방치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60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