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미 UFS연습, 북핵 대비훈련 빼고 야외훈련 절반 연기
-
3회 연결
본문

육군 제1기갑여단 진격대대와 미1기갑사단 썬더볼트대대가 2024년 8월 ‘2024 UFS/TIGER’의 일환으로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실사격 기동훈련을 하는 모습. [사진 육군]
한·미가 오는 18일부터 28일까지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정례 연합훈련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Ulchi Freedom Shield) 연습을 실시한다. 정부는 이번 훈련과 연계해 실시하는 을지연습에서 북핵 시나리오 사용을 상정한 훈련을 제외하고, 야외실기동훈련(FTX) 일부를 9월로 연기한다. 남북 간 긴장 완화를 도모하겠다고 밝힌 이재명 정부의 대북 기조가 반영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미 군 당국은 7일 올해 UFS 연습 일정을 공개하면서 “한·미가 연례적으로 실시하는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라며 “최근 전쟁 양상을 통해 분석된 전훈 등 현실적인 위협을 연습 시나리오에 반영함으로써 ‘연합·합동 전 영역 작전’을 포함한 동맹의 대응능력과 태세를 굳건히 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군 훈련 참가 인원은 1만8000명가량이며, 미군도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가 참가한다. 훈련은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지휘소연습(CPX)과 야외실기동훈련(FTX)으로 구성되는데, 이번 연습 기간 계획했던 40여 건의 FTX 중 20여 건이 9월로 연기된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극심한 폭염에 따른 훈련 여건의 보장, 연중 균형된 연합방위태세 유지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한·미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일부 훈련을 다음 달로 조정해 시행하기로 했다”며 “연합훈련 시나리오와 연계된 FTX와 미국 측의 인원과 장비가 전개되는 훈련은 정상 시행한다”고 말했다. 연기된 훈련은 대부분 대대급 이하 규모로 이뤄지는 비행장 방호 훈련 및 피해 복구 훈련, 장비 정비지원 훈련 등이라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군 당국은 폭염을 훈련 연기 사유로 꼽았지만,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에 민감하게 반응해온 점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대통령실에 이번 훈련의 ‘조정’을 건의한 것이 영향을 끼쳤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와 관련, 통일부 고위 당국자는 한·미 양국이 이번 UFS 훈련 중 일부를 폭염 등의 이유로 연기한 것에 대해 “조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긴장 완화와 평화 안정은 통일부의 목표이자 이재명 정부의 목표이고 대한민국의 목표”라며 “한·미 훈련도 그런 점에서 한반도 긴장 완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다만 군 안팎에선 한·미 발표문에서 올해 상반기 ‘자유의 방패’(FS·Freedom Shield) 연습 발표 당시만 해도 있던 “북한 대량살상무기” “북한군의 현실적인 위협”과 같은 표현이 모두 빠진 것도 문제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이번 UFS를 방어적인 훈련이라고 밝히면서도 방어의 대상을 의도적으로 누락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이성준 실장은 “2022년과 2024년 발표문에도 북한이란 단어는 없었다”며 “이번 연습 시나리오에 북한 미사일에 대한 상황은 있어서, 북한의 핵 사용 억제에 대한 훈련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이언 도널드 주한미군사 공보실장도 ‘북한’ 언급이 빠진 것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관련 있느냐는 질문에 “‘북한’이라는 단어가 빠졌다고 해서 북한이 한반도 안보에 주 위협이라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