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6·27 대출 규제 후 서울 아파트 9억 이하 위주로 팔려
-
6회 연결
본문

지난 10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뉴스1
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의 절반이 9억원 이하 아파트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되면서 중·고가 아파트 거래가 급격히 위축된 반면 대출 한도에 걸리지 않는 저가 아파트 중심으로 매수가 몰린 결과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출 규제 시행 다음 날인 6월 28일부터 8월 10일까지 43일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유효 거래량은 4646건이었다. 이 가운데 9억원 이하 거래가 2052건으로 전체의 49.5%를 차지했다.
대출 규제 직전 43일(5월 16일∼6월 27일)간 신고된 1만4528건 가운데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37.7%(5473건)였던 것과 비교해 비중이 11.8%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대출 규제 이후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9억원 이하 비중이 커진 것은 주담대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된 영향이 크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현재 강남 3구와 용산구 등 규제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70%인 점을 감안하면, LTV를 최대 적용해도 6억원 대출이 가능한 주택가격 상한이 9억원 선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시행되면서 소득 대비 대출 한도가 감소한 것도 저가 위주의 거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 가운데서도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14.7%에서 대출 규제 후에는 22.8%로 8.1%가 늘어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6억원 초과∼9억원 이하는 대출 규제 전 23.0%에서 규제 후 26.8%로 3.8%포인트 커졌다.
반면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비중은 대출 규제 전 43일간 34.7%에서 대출 규제 후에는 28.6%로 6%포인트가량 비중이 축소됐다.
특히 대출 규제 전 23.0%를 차지했던 15억원 초과∼30억원 이하 비중은 대출 규제 후 15.6%로 7.4%포인트 감소해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이 가격대는 강남권의 소형 아파트나 마포·성동구 등 인기지역 중대형 아파트 시세로 일단 이번 대출 규제로 이들 지역의 거래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셈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0일 현재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7월 거래량은 3649건으로 6월(1만19980건) 대비 69.5% 감소했다.
이 가운데 15억∼30억원대 아파트가 많은 성동구는 6월 809건에서 7월 92건으로 88.6%, 마포구는 704건에서 109건으로 84.5% 줄었다.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강북구는 6월 177건에서 7월 80건으로 54% 감소했고, 도봉구는 58%(300건→126건), 노원구는 66.1%(856건→290건)가 줄어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작았다.
반면 30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규제 전 4.6%에서 규제 후 6.2%로 늘었다. 규제 전보다 절대 거래량은 줄었지만 초고가 아파트 매수가 가능한 현금 부자들은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 영향을 덜 받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