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구직자 1명당 일자리 0.4개…제조업 부진에 26년만 최저
-
10회 연결
본문

지난달 16일 경북 구미시 복합스포츠센터에서 열린 '춘하추동 취업 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회사별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구직자 1명당 일자리 수가 0.4개에 불과해 1999년 이후 2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조업 경기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고용노동부가 11일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고용서비스 통합플랫폼 ‘고용24’의 7월 신규 구인 인원은 16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만4000명(16.9%) 감소했다. 반면 신규 구직 인원은 41만1000명으로 2만1000명(5.5%) 늘었다. 이에 따라 구인배수(구직자 1명당 일자리 수)는 0.40으로 전년 동월(0.51)보다 하락했으며, 1999년 7월(0.39) 이후 최저 수준이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제조업 경기가 크게 부진해 일자리 수가 줄었고, 제조업 구인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7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559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8만명(1.2%) 증가했으나, 코로나 시기를 제외하면 2003년 7월(10만6000명) 이후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 가입자가 20만3000명 늘며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제조업과 건설업은 각각 5000명, 1만9000명 줄었다.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의약품, 식료품, 화학제품 분야가 늘었으나 금속가공, 섬유,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분야는 감소했다.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높아지면서 내국인 감소분을 상당 부분 대체한 것으로 분석된다.
건설업 가입자는 75만명으로 종합건설업을 중심으로 24개월 연속 감소했다. 반면 서비스업 가입자는 보건복지를 중심으로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 가입자가 858만3000명으로 3만8000명 증가했고, 여성 가입자는 701만7000명으로 14만1000명 늘었다. 연령별로는 30대, 50대, 60세 이상에서 증가했으나, 29세 이하와 40대에서는 감소했다.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는 11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000명(0.6%) 줄었지만, 지급자는 67만3000명으로 2만1000명(3.2%) 늘었다. 지급액은 1조1121억원으로 354억원(3.3%) 증가했는데, 이는 8~9개월간 장기 지급을 받는 사례가 많아진 영향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