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관세 또 때린 전 부통령 펜스…“관세 로비업체만 배불려”

본문

17549759938758.jpg

지난 1월 9일(현지시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국가 장례식이 열린 워싱턴 DC 국립 대성당에서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오른쪽)과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이 악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진실은 외국이 아닌 미국이 관세를 지불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마이크 펜스 전 미국 부통령이 설립한 보수단체 ‘미국 자유 증진(Advancing American Freedom·AAF)’이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원들에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며 보냈다는 메모의 한 대목이다.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AAF가 의원들에게 보낸 메모를 입수해 보도했다. AAF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 때 2인자였던 펜스 전 부통령이 2021년 4월 설립한 비영리 단체다.

AAF는 특히 해당 메모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워싱턴 DC의 관세 관련 로비업체 수익이 급증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방 하원의 로비 공개 자료에 따르면, 관세 정책과 관련된 로비업체 수익은 지난해 대비 599% 증가했으며, 관세 관련 로비 계약은 약 880만 달러(약 122억 원)에 달한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각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맨 처음 발표한 지난 4월 이후 6월까지 관세 관련 로비 계약의 평균 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관련 로비계약 약 122억원”

AAF는 메모에서 “관세는 열심히 일하는 미국 가족들에게 피해를 준다”면서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물을 빼겠다고 공약한 바로 그 늪에 돈을 대고 있다. ‘늪지대 물을 빼라’(Drain the Swamp)는 것은 K스트리트(로비업체들이 즐비한 워싱턴 DC 중심가)의 관세 관련 펀딩을 중단하는 것이지 늘리는 것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늪지대 물을 빼라’는 표현은 정치권ㆍ관료 등 기득권 세력의 적폐를 뿌리 뽑겠다는 말로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등에서 자주 썼던 구호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는 관세 정책은 선거에서 유권자 표를 얻기 위해 공약한 기득권 적폐 청산과는 정반대 행보라는 비판이다.

AAF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로 금융 시장이 여전히 그 이전 수준을 하회하고 있고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현재까지 1.35%에 그쳤다는 점을 들어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해를 입혔고 특히 소규모 기업에 타격을 줬다고 지적했다. AAF는 지난 4월부터 관세가 미국 농민과 소비자에게 악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며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자유무역 옹호’ 펜스 관세 계속 비판  

1754975994098.jpg

지난 5월 19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에서 열린 관세 관련 토론에 패널로 참석한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이 자료를 읽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 집권 1기 때 2인자였던 펜스 전 부통령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기회 있을 때마다 관세 정책을 줄기차게 비판해 왔다. 지난 4월 9일 더힐 인터뷰에서 10% 기본 관세, 철강ㆍ알루미늄ㆍ자동차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에 대해 “광범위한 관세 부과는 잘못된 접근”이라며 2026년 11월에 있을 중간선거에서 집권 공화당에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5월 5일 CNN 인터뷰에서는 “우방과 적국 모두에 적용되는 전면적ㆍ무차별적 관세 정책은 미국 국민에게 이득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고, 같은 달 19일 AAF가 주최한 포럼 행사에서는 “고율 관세의 대가를 지불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미국 소비자들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펜스 전 부통령은 미성년자 성착취혐의로 기소됐다 수감 중 사망한 제프리 엡스타인 스캔들’과 관련해서도 최근 엡스타인 파일에 있는 모든 이름이 공개돼야 한다며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1기 행정부 내내 자세를 낮췄던 밴스 전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등을 돌린 것은 2020년 11월 대선 이후였다. 당시 대선을 부정 선거라고 주장하며 결과에 불복했던 트럼프가 부통령으로서 당연직 상원 의장이던 펜스에게 대선 결과 인준 거부를 지시했지만, 펜스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조 바이든 당시 민주당 후보의 대선 승리를 공식 인증했다. 이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강성 지지자들은 펜스 전 부통령을 ‘배신자’라는 낙인을 찍었고, 펜스와 트럼프는 정치적으로 대척점에 서게 됐다.

펜스 전 부통령은 미국 내 기독교 보수주의를 대표하는 인사로 성소수자와 낙태에 반하는 신념을 표방해 왔다. 다만 경제적으로는 “자유 세계 무역 파트너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자유무역을 지지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세계무역기구(WTO) 탈퇴와 보호무역주의에 공개적으로 반대해 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5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