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中서 LG엔솔, 韓서 CATL..경계 무너진 시장서 K배터리 '무한경쟁&…

본문

17549831360531.jpg

테슬라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만든 모델3 차량이 출고를 기다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에서 파는 전기차에 한국 배터리를 늘리는 테슬라, 국내에서 파는 전기차에 중국 배터리를 늘리는 기아….

자동차와 배터리(2차전지) 업체 간 ‘동맹’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가격·성능·관세 등을 따져 조금이라도 유리하면 국적을 가리지 않는 전략이다. 전기차 수요가 주춤한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국면 속에서 치열해진 생존 경쟁의 단면이다.

12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중국 판매용 중형 전기차 ‘모델3’에 LG에너지솔루션이(LG엔솔) 만든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탑재하기로 했다.

테슬라는 기존에 모델3 상위 2개 트림(롱레인지·퍼포먼스)에 LG엔솔 NCM 배터리, 후륜구동(RWD) 트림에는 중국 CATL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써왔다. 그러나 9월 출시 예정인 새 RWD 모델에는 LG엔솔 배터리를 적용한다. LFP보다 주행거리가 긴 한국산 NCM으로 현지 업체와 차별화를 노린 것이다. ‘애국 소비’ 성향이 강한 중국 시장이지만 한국 배터리 채택이 확대되는 모양새다.

반면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는 중국산 배터리 채택이 늘고 있다. 기아는 연내 국내 출시 예정인 준중형 전기차 ‘EV5’에 CATL의 NCM 배터리를 쓰기로 했다. CATL 배터리가 소형 모델(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기아 레이EV 등)을 넘어 준중형까지 적용되는 건 처음이다. 기아는 지난 6월 출시한 첫 전기 목적기반차량(PBV) ‘PV5’에도 CATL NCM 배터리를 장착했다. 가격뿐 아니라 기술력도 인정한 셈이다. ‘저가=중국, 고성능=한국’ 공식이 깨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는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배터리 국적을 따지지 않는 경향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17549831362979.jpg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윗줄 왼쪽 넷째)과 한국 정부 무역 협상단이 한미 관세 협상을 하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엑스(X) 캡처

국내 배터리 업계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조선 외에 반도체·원전·2차전지·바이오 등 경쟁력 있는 분야에 20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펀드를 조성하고, 우리 기업이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관세 협상 직후인 3일, 한국무역보험공사는 LG화학이 추진하는 미국 양극재 공장 신설에 10억 달러(약 1조3900억 원) 규모 금융 보증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관세 협상 이후 첫 투자 보증 사례다.

미국이 대(對)중국 배터리 포위망을 좁히는 데도 주목한다. 미국은 중국산 ESS(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에 41% 관세를 부과 중인데, 내년부터 관세율을 58%로 높일 계획이다. 여기에 중국산 부품·원료 사용, 중국 기업과의 기술 제휴, 중국 자본 투자 등이 확인되면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 등 전방위 압박에 나서고 있다. 지난 5월 기준 미국의 중국산 배터리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K 배터리 업체가 ‘반사이익’을 노리는 부분이다.

다만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미국이 매길 ‘품목별 관세’는 여전히 변수다. 배터리 미국 현지 생산을 늘려도 원재료 상당수를 중국 등에서 수입해 완제품을 만드는 구조여서다. 한국무역협회는 ▶미국 정부의 품목별 관세 조사 절차에 적극 참여하는 사전 대응 ▶관세 부과 시 예외 절차 활용 등 사후 대응 ▶미국 현지화와 공급망 다변화 전략 병행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5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