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케데헌 ‘골든’ 빌보드 1위…케이팝, 케이팝을 넘어서다
-
4회 연결
본문

‘케데헌’에서 케이팝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헌트릭스는 ‘혼문’을 만들기 위해 노래한다. [사진 넷플릭스]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의 OST ‘골든’(Golden)이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 100’ 1위를 기록했다.
빌보드는 11일(현지시간)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한 16일자 차트 예고 기사에서 “‘골든’이 지난주보다 한 단계 순위를 올리며 알렉스 워렌의 ‘오디너리’(Ordinary)를 제치고 차트 정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골든’은 ‘핫 100’ 차트를 석권한 ‘케이팝과 관련된’(associated with Korean pop) 아홉 번째 곡으로, 여성 보컬이 부른 첫 번째 1위 곡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케데헌’에서 케이팝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헌트릭스는 ‘혼문’을 만들기 위해 노래한다. [사진 넷플릭스]
이로써 ‘골든’은 지난 1일 영국의 오피셜 싱글 차트 ‘톱 100’ 1위에 이어 미국 빌보드 차트까지 석권하는 기록을 세웠다. 지난 6월 20일 애니메이션 공개 이후 약 두 달 만에 이뤄낸 성과다. ‘케데헌’의 성공은 세계인들이 장르의 경계를 넘어 ‘한국문화’ 전반을 즐기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크리에이터들의 작품이 앞으로 더욱 주목 받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케데헌’의 주인공은 케이팝 3인조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헌트릭스다. 이들은 노래를 불러 얻은 팬들의 마음을 통해 악령을 물리치고, 방어막 ‘혼문’을 완성하려 한다. 5인조 보이그룹 사자보이즈가 상대 악령 그룹으로 등장해 대결 구도를 펼친다.

극 중 헌트릭스가 부르는 ‘골든’은 최종 목적인 ‘황금 혼문’을 상징하는 동시에 주인공들의 과거 상처를 극복하고 빛나는 존재가 되어가는 과정을 담아낸 노래다. 시원하게 뻗어 올라가는 고음 등 가창면에서도 전형적인 케이팝의 진행 방식을 따른다. 김도헌 대중음악평론가는 “‘골든’은 팬덤을 기반으로 한 케이팝 가수의 노래가 아니라, 대중적 인기를 얻은 애니메이션의 주제가가 차트에 진입해 차근차근 순위를 높인 빌보드 히트곡의 흥행 공식을 따랐다”며 “차트에 장기 집권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케데헌’은 미국 애니메이션이지만 케이팝 걸그룹의 일상과 무대, 팬들과의 교류는 물론 한국의 예절과 음식문화 등을 섬세하게 그렸다. 공연하기 전 함께 라면을 먹는 모습, 사인회를 통해 팬들과 만나고 유대감을 쌓는 모습 등 기존 케이팝 팬들이 공감할 만한 요소들을 곳곳에 넣었다. 하재근 대중문화평론가는 “케이팝 문화를 구체적으로 묘사해 관심 있는 사람들에겐 공감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신선함을 주며 인기를 견인했다”고 봤다.
이는 세계 팬들의 관심이 단순히 케이팝 음악 혹은 공연에서 더 나아가 케이팝을 포함한 한국문화 전반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케데헌’은 한국 문화를 단순 반영하는 방식에 그치지 않고, 영미권 현지 문화와도 연결한 점이 인상적이다. 서사는 전형적인 액션 히어로 장르물의 법칙을 따르며, ‘골든’에도 표현된 ‘디아스포라적 인물’ 루미의 극복 서사는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는 영미권의 문법과도 맞아떨어진다.

‘케데헌’에서 케이팝 걸그룹이자 퇴마사인 헌트릭스는 ‘혼문’을 만들기 위해 노래한다. [사진 넷플릭스]
무엇보다 ‘케데헌’의 성공에서 주목할 점은 이 작품과 수록곡이 만들어진 독특한 배경에 있다. ‘케데헌’은 미국 제작사인 소니픽처스가 제작했지만, 현지의 한국계 캐나다인인 매기 강 감독과 한국계 애니메이터들을 고용해 한국의 케이팝 회사들과 함께 작업했다. 헌트릭스의 ‘골든’은 SM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출신인 작곡가 이재와 서울 출신 래퍼 겸 싱어송라이터 레이 아미, 미국 뉴저지 출신인 오드리 누나가 가창했다. 이들은 모두 한국계 미국인이다. 작곡에는 케이팝 기획사 더블랙레이블의 음악 프로듀서 테디·24와 이재가 참여했다.
‘케데헌’은 윤여정 배우에게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안긴 영화 ‘미나리’(2021), 제작자와 감독, 주연배우 모두 한국계였던 애플TV+의 ‘파친코 시리즈’ (2022, 2024)와 같은 맥락에서 디아스포라 콘텐트의 성공 사례 중 하나로 평가된다. 김도헌 평론가는 “‘케데헌’은 케이팝이 외부 문화와 결합됐을 때 얼마나 (대중의) 호기심을 끌어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는 한국인 제작자가 없거나, 아웃소싱(외부 위탁)하는 형태로 만들어진 케이팝 콘텐트가 등장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