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훼손된 광주 정율성 흉상 복원 결정 ‘논란’…중국은 ‘환영’, 시민연대는 ‘반발’

본문

훼손된 정율성 흉상, 2년 만에 복원 검토 

17550659957114.jpg

2023년 10월 4일 광주광역시 남구 정율성거리에 조성된 정율성 흉상이 훼손돼 있다. 황희규 기자

광주광역시 남구가 이념 논란이 불거진 정율성(鄭律成·1914~1975) 흉상을 2년 만에 복원하기로 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광주 남구에 따르면 양림동 정율성로에 세워졌다가 보수 단체에 의해 파손된 정율성 흉상을 오는 9월 중 복원할 예정이다. 남구는 구체적인 흉상 복원 방법이나 시기 등은 추후 논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훼손된 정율성 흉상은 남광주청년회의소가 중국 해주구 인민정부에서 기증받은 후 남구에 재기증하면서 2009년 7월 세워졌다. 하지만 2023년 조선인민군 행진곡 등을 작곡한 정율성의 행적을 놓고 이념 논란이 일었고, 보수단체인 사랑제일교회 특임전도사에 의해 훼손됐다.

남구는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으로부터 구두로 정율성 흉상 복원 요청을 받아 복원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총영사관 측은 남구에 “자국인들이 광주에 방문해 훼손된 흉상을 보게 되는 점이 우려된다”고 전달했다.

김병내 남구청장은 “총영사관으로부터 복원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중국을 적대 국가로 생각한다면 모르지만, 외교 관계를 고려해 복원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결정 철회해야” vs “반가운 소식”

17550659959633.jpg

2023년 9월 2일 오후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 정율성거리에서 대한민국전몰군경 유족회·미망인회 회원들이 집회를 열고 광주시의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사업'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흉상 복원 소식에 정율성 관련 사업을 반대해온 시민단체 등은 반발했다. 대한민국전몰군경 미망인회 김오례 광주지부장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남구의 흉상 복원 결정은 현재까지도 전쟁의 아픔을 겪는 사람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행태”라며 “대한민국을 위해 아무런 공로도 세우지 않은 사람을 왜 기리는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당장 결정을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남구의 복원 결정에 중국 총영사관 측은 환영 입장을 밝혔다. 총영사관 관계자는 “그동안 정율성 선생의 단편적인 부분을 강조하며 정치적으로 이용돼 안타까웠다”며 “2년이 지난 지금이라도 남구의 복원 결정은 반가운 소식이다”라고 설명했다. 총영사관 측은 올해 광주 방문의 해를 맞아 지난 2월부터 최근까지 중국 대학생 등 223명을 초청했다.

정율성 관련 사업, 2년째 표류

17550659962115.jpg

지난해 7월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공사현장의 모습. 황희규 기자

광주시의 정율성 관련 사업은 이념 논란이 제기된 후 2년째 표류하고 있다. 45억원이 투입된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사업은 지난해 사업을 완료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정율성 생가 외부는 복원됐으나 내부를 꾸밀 전시 콘텐트를 마련하지 못하고, 공원 명칭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정율성 역사공원 사업은 정율성을 기리기 위해 2018년부터 추진됐으며, 광주 동구 불로동 164-1번지 988㎡ 규모의 부지에 있는 정율성 생가를 복원하고 공원을 조성하는 게 골자다.

2005년부터 매년 열렸던 ‘정율성 국제음악제’도 2년째 열리지 않고 있다. 정율성 음악제는 한 해 2억~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열렸으나 이념 논란 등의 이유로 예산이 편성되지 않아 행사가 중단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까지 역사공원 조성사업을 마무리하는 종합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 출신인 정율성은 의열단장 김원봉이 중국 난징에 세운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다녔다. 이후 중국 인민해방군 행진곡(팔로군행진곡)과 북한 군가인 ‘조선인민군 행진곡’ 등을 작곡했으며, 1956년 중국에 귀화했다.

관련기사

  • 흉상 철거, 전시관 폐쇄…광주 이어 화순도 '정율성 지우기'

  • '정율성로' 명칭 변경, 70% 반대?…주민들 "통장이 유도했다"

  • 정율성 사업 중단 요구하자…시민 의견 묻겠다는 광주 남구

  • 보훈부 “남침 참여 정율성 기념사업 중단을”…광주시는 거부

  • "보훈부 권고 따를 수 없어“...정율성 기념사업 중단 요구 거부한 광주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83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