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복 후 고국땅 못 밟은 독립운동가, 후손 19명이 서울 왔다
-
3회 연결
본문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7월 28일(현지시간) 중국 충칭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를 찾아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기념촬영을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광복 80주년을 맞아 중국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의 후손 19명이 서울을 찾았다. 서울시는 독립유공자와 후손들에 대한 예우를 하기 위해 유공자 11명을 포함해 해외 거주 후손 19명을 서울로 초청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날인 12일 입국한 이들은 17일까지 엿새간 광복 80주년 경축식 참여와 국립현충원 참배 등을 통해 선조들의 조국인 대한민국에서 광복의 의미와 정신을 이어 나간다.
이들 독립유공자는 일제 강점기때 중국ㆍ북간도ㆍ만주ㆍ상해ㆍ충칭 등에서 활동하다 광복을 보지 못하고 타지에서 세상을 떠났거나 귀국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들의 후손들은 중국 내에서 터전을 잡고 살아가고 있다.
이번에 서울을 방문한 독립유공자 후손은 김좌진 장군과 함께 활동하며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요인 암살 등을 도모한 이달 선생의 장녀 이소심씨와 김구 선생의 주치의였던 유진동 선생의 아들 유수동씨, 임시정부 판공실 비서였던 김동진 선생의 딸 김연령씨 등 2세 3명이 대표적이다. 3세대 후손으로는 삼부자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유기석 선생의 손자 유화씨가 있다.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국립현충원 현충탑 앞에서 참배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이밖에 홍범도 장군과 함께 봉오동 전투를 승리로 이끈 최진동(최명록) 장군의 외증손자 이정희씨, 독립운동가 김성숙 선생과 항일여성운동가 두군혜 선생 부부의 손자인 두영무 피아니스트도 서울을 찾았다. 또 김규식 선생 증손자 김령필씨, 김복형 선생의 손자 김광릉씨, 김은충 선생 외손자녀정해씨, 안치삼 선생의 손자 안성진씨, 이동화 선생의 외손자 곽소혜씨 등도 포함됐다.
이날 현충원을 참배한 김령필씨는 “할아버지가 지키고자 했던 조국이 반백 년만의 세계적인 선진국으로 우뚝 서게 된 데는 대한민국 국민에 독립군의 지혜와 정신이 스며있기 때문이라 생각하며 자긍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1년 만에 지켜진 약속, 유공자 후손 초청

지난해 7월 28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중국 충칭시에 위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에서 독립유공자 후손을 만났다. 사진 서울시
이번 방한은 지난해 7월 중국 충칭을 찾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약속으로 추진됐다. 당시 이소심씨가 “서울시가 해외에 있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초청해 함께 만나게 해주면 좋겠다”고 건의했고, 오 시장은 “좋은 제안을 해준 만큼 초청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해 1년 만에 성사됐다.
이들은 14일 오세훈 시장과 오찬 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리는 ‘서울시 광복 80주년 경축식’ 행사에 참석하고, 15일 독립운동가의 후손 자격으로 타종식 행사에도 함께 한다. 오세훈 시장은 “민족을 위한 선열들의 헌신이 있었기에 현재의 대한민국과 서울이 존재한다”며 “앞으로도 독립유공자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며 유공자와 후손에 대한 예우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