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7000만원으로 똑똑한 아이 낳는법"…실리콘밸리 난리 난 이 검사
-
5회 연결
본문

유전자 검사. AP=연합뉴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지능지수(IQ)가 높은 자녀를 선택하는 문화가 퍼지고 있다. 일각에선 생명 윤리에 어긋난다고 우려하는가 하면 배아 IQ 예측의 정확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고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실리콘밸리가 위치한 캘리포니아의 베이 지역에서 인간 배아의 유전자 검사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의 현황을 전했다.
이들 업체는 여러 배아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토대로 미래의 IQ 예상치를 측정해 부모가 어떤 배아로 시험관 시술을 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용은 적게는 6000달러(약 800만원)에서 많게는 5만달러(약 7000만원)에 달하지만 수요가 상당한 수준이다.
업체 중 하나인 '누클리어스지노믹스'의 창업자 키안 사데기는 WSJ에 "실리콘밸리는 IQ를 사랑한다"며 "(실리콘밸리 이외 지역의) 일반적인 미국인이라면 자녀가 하버드대 교수가 되기보다 르브론 제임스(NBA의 살아있는 전설)가 되기를 바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버드대 의대의 통계유전학자 사샤 구세브 교수는 이런 '유전 최적화' 현상에 대해 실리콘밸리의 능력주의 문화가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그들은 자신이 똑똑하고 좋은 유전자를 보유해 성취를 이룰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제 그들은 자녀들도 똑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생긴 셈"이라고 말했다.
반면 생명윤리 학자들은 배아 유전자 검사에 경각심을 내비쳤다. 행크 그릴리 스탠퍼드대 생명과학·법센터장은 "부자들이 슈퍼 유전자를 가진 계층을 형성해 모든 것을 차지하고 나머지를 노동자로 부린다는 건 과학소설에서나 볼 이야기"라며 "이게 공정한가"라고 되물었다.
하지만 최고급 유치원에서 IQ 검사 결과 제출을 요구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개방성도 높은 실리콘밸리에선 부모가 그런 도덕적 딜레마에 겪지 않는다고 WSJ은 짚었다.
배아 IQ 예측의 정확도가 높지 않아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구세브 교수는 "가장 높은 IQ를 가진 배아를 선택하는 것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위험이 가장 높은 배아를 선택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예측 모델을 개발한 샤이 카르미 예루살렘 히브리대 교수는 이 모델을 이용한다고 해도 평균 3∼4점 정도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을 뿐이라며 "자녀를 신동으로 만들 수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