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교육장관 후보자 “서울대10개 만들기, 교육정상화 차원 정책”

본문

17551415518258.jpg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이재명 정부 주요 교육정책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에 대해 “교육 정상화와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나온 정책”이라며 이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최 후보자는 지명 이튿날인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 출근하다 기자들의 질문에 답했다. 교사 출신의 3선 교육감인 그는 '고등교육 경험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지적은 사실이지만, 유·초·중·고교 교육과 대학교육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연결 돼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러면서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하면 대학 전문가들의 의견을 더 많이 듣고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국정기획위원회의 인공지능(AI) 교육 강화 기조와 관련해선 “아이들에게 AI 기본 소양을 잘 가르치는 것과 함께 AI에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많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부 시·도 교육청과 발행업체들이 최근 지위가 교육자료로 낮아진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에 대해 플랫폼 사용과 예산 지원 등을 요구하는 상황을 두고선 “그렇게 해야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AI를 활용한 교육 효과 증대를 위해서라도 학교에서 교육자료로라도 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이 협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후보자는 ‘세종시의 사교육 관련 정책이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질문엔 “뼈 아픈 지적”이라며 “최선을 다 했는데도 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 경감’이 정답처럼 돼 있는데 그것만 가지고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교육부 뿐 아니라 국가교육위원회 등 관련 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의해 해결 방안을 찾아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장관으로 취임하면 가장 중점을 둘 정책’을 묻는 말에 “빠르게 변화하는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 첫 번째”라고 답변했다. 이밖에 유보통합, 고교학점제, 교권침해 등 교육계 현안을 언급하며 “우선순위를 정해 보완할 건 보완하고 새롭게 논의 필요한 부분은 당사자들과 지속적으로 논의하며 해답을 모색해 가겠다”고 했다.

최 후보자는 지명 소감으로는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국민주권정부가 꼭 성공하길 바라는 국민 염원을 알고 있기에 두려움이 더 크다. 최대한 현장을 찾아다니고 경청하고 소통하면서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81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