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특검, 국힘 압수수색 '15시간 대치' 끝 철수…당원명부 확보 …
-
3회 연결
본문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권성동 의원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긴급의원총회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의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이 15시간 대치 끝에 불발됐다. 특검팀은 14일 오전 0시40분쯤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철수했다. 전날 오전 10시 압수수색영장을 제시하고 진입한 지 15시간 만이다. 특검팀은 통일교 측의 권성동 의원에 대한 2022년 1월 대선 자금 1억원 제공 의혹에 이어 같은해 말 당대표 선거 지원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았다.
특검 관계자는 “18일에 국민의힘 측과 논의한 뒤 영장을 재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논의 상대는 중앙당 사무를 총괄하는 사무총장으로 선임된 정점식(경남 통영고성) 의원으로 전해졌다. 검사 출신인 정 의원은 지난달 3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첫 회의에서 사무총장에 임명됐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10시 중앙당에서 특검 압수수색에 대한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김문수 당대표 후보는 오는 22일 전당대회를 앞둔 시점에 특검이 압수수색에 나서자 반발해 전날 오후 11시30분부터 당사 1층에서 무기한 농성을 시작했다. 김 후보는 “전당대회 기간에 압수수색을 벌이는 무도한 특검을 규탄한다”며 “극악한 야당 말살 행위이자 정당을 보호하는 헌법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특검의 압수수색은 당원명부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 다만 전체 당원명부를 요구한 건 아니다. 특검팀은 “특정 명단의 당원 가입 여부를 시기를 특정하여 필요 최소한의 범위에서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공지했다. 통일교 신도 명단과 당원명부 일부를 대조해 2023년 전당대회를 앞두고 2022년 12월부터 통일교 신도들이 무더기로 입당한 의혹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는 취지다.

김문수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 로비에서 특검의 압수수색에 대해 항의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압수수색영장 기재 혐의는 정치자금법 위반과 특가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알려졌다. 특검 이첩 전 서울남부지검은 당원 가입 의사가 없는 통일교 교인들을 강제 입당시켰을 가능성 등을 내다보고 정당법 49조(당 대표 경선 등 자유방해죄)와 42조(강제입당) 등을 위반했는지도 검토했다.
앞서 윤영호(48·구속)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은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64)씨와 공모, 통일교 계열 단체인 천주평화연합(UPF) 조직을 통해 당원 가입서를 돌려 국민의힘에 신자들을 입당시켰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아 30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이날 법원은 도주의 우려 등으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뉴스1
통일교 교단 차원의 무더기 입당 의혹은 윤 전 본부장과 전씨가 나눈 문자메시지에서도 포착됐다고 한다. 2022년 11월 윤 전 본부장이 전씨에게 “윤심은 정확히 무엇입니까, 전당대회에 어느 정도 규모로 (당원이) 필요한가요”라고 묻자 전씨는 “윤심은 변함없이 권(성동)”이라고 답한 문자 내용이 있다.
이에 더해 2023년 1월 권성동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하자 윤 전 본부장은 “무리를 했는데 낭패”라는 문자를 전씨에게 보냈다고 한다. 윤 전 본부장은 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둔 2022년 1월 5일 권 의원을 만나 1억원을 전달한 혐의 등으로 지난달 30일 구속됐다.
윤 전 본부장은 한학자 통일교 총재와 아침식사를 한 뒤 권 의원과 여의도 모처에서 오찬을 갖고 “약소하지만 후보님을 위해 잘 써달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특검은 윤 전 본부장의 해당 일자 다이어리에 ‘큰 거 1장 support’이라는 메모도 확보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