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케데헌 초대박, 돈은 美∙日이 벌었다…세계 톱50 지재권 '한국 0&ap…

본문

17554143691787.jpg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장면 중 하나. 사진 넷플릭스

글로벌 지식재산권(IP) 50위권에 한국 콘텐트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즈(케데헌)’의 전 세계적인 인기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수익이 미국·일본 업체에 돌아가는 현실에서 한국만의 ‘수퍼 IP’를 키워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지식재산권의 산업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IP 산업화 역량 지표인 ‘세계적 지재권자(글로벌 탑 라이센서) 50’ 명단에 미국이 32개, 일본이 7개, 중국·프랑스가 각각 2개씩 이름을 올렸다. 스웨덴·영국·캐나다·이탈리아·독일·핀란드·덴마크도 각 1개의 IP를 보유하고 있지만, 한국 IP는 단 하나도 없다.

글로벌 IP가 가지는 부가가치는 크다. 미키마우스를 보유한 월트디즈니는 지난해 약 620억 달러(약 86조원)의 상품 판매를 기록했다. 이외에 위키드의 NBC유니버셜(170억 달러), 트랜스포머의 해즈브로(161억 달러), 배트맨의 워너 브라더스(150억 달러) 등 미국 라이센서 32개사의 IP에서 발생한 수익은 총 2424억5000만 달러(약 338조원)이었다. 지난해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13% 수준이다. 일본 역시 헬로키티를 보유한 산리오(84억 달러), 포켓몬스터를 보유한 포켓몬컴퍼니(120억 달러) 등에서 막대한 수익을 올렸다.

보고서는 한국의 IP 산업이 부진한 이유에 대해 ▶원천 IP 부족 ▶IP의 다각적 활용에 대한 전략 미흡 ▶뒷받침할 투자 여력 부족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수출 관세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제조업 위주의 하드 머니보다는 소프트한 머니를 벌어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스토리 중심의 수퍼 IP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인기로 K팝을 비롯해 김밥, 라면, 한옥마을, 남산타워, 팬덤 문화, 심지어 무속신앙까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실제 수익을 올리는 쪽은 한국이 아닌 미국 플랫폼과 일본 제작사였다. 결국 한국에서 ‘제2의 케데헌’을 우리 손으로 만들고, 관련 파생 상품도 놓쳐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는 “스토리 중심의 수퍼 IP 전략을 입체적으로 지원할 ‘케데헌 법안’이라도 만들어야 할 때라는 게 업계 설명”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보고서는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에 대응할 IP 주권 펀드 조성, K산업의 해외 지재권 확보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글로벌 마켓이 하나였던 시대엔 좋은 물건을 만들어 잘 팔면 성장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이런 방식만으론 성장이 힘들게 됐다”며 “K-푸드, K-콘텐트 등 지재권 산업화를 통해 글로벌 지속 수요를 창출하는 ‘락인(Lock-in)’ 전략을 적극적으로 펴야 한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4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