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통일교 전대 개입 수사 분수령…특검, 국힘 압색 닷새만 성공할까
-
5회 연결
본문

김건희 특검팀의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에 당 지도부와 당 대표 후보 등이 강력 반발을 하고 있는 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 입구에 특검을 규탄하는 내용의 팻말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국민의힘과 당사 압수수색을 놓고 닷새째 대치 중인 가운데 18일 목표한 당원 명부를 확보할 수 있을지가 수사 성패를 가를 분수령이란 지적이 나온다. 특검팀은 지난 13일 통일교 측의 2023년 전당대회 신도 1만여명 가입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국민의힘 당원 명부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당사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15시간 대치 끝에 불발된 바 있다.
특검팀은 이와 관련 윤영호(48·구속)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에게서 “2022년 3월 대선 직전 통일교 시도 지구장을 통해 국민의힘 시도당 위원장에게 수천만원씩 모두 2억원가량을 건넸다” “2023년 3월 전당대회에 앞두고 신도 1만여명이 신규 입당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18일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위해 국민의힘 측과 자료 제출 범위 및 방식을 논의하기로 했다. 국민의힘에선 정점식 사무총장이 관련 사무를 총괄하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17일 “다음 수순에 대해서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면서도 “협의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하루 앞둔 이날까지 진전은 크게 없다는 게 특검팀 설명이다.
특검팀과 국민의힘의 입장이 가장 크게 엇갈리는 점은 압수 대상 당원 명부의 범위다. 특검팀은 당원 명부 전체를 요구한 적 없다는 입장이다. 문홍주 특검보는 지난 14일 “500만 당원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목표로 하는 압수수색을 할 수 있다고 (국민의힘 측에) 충분히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술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본다면 당원 전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통일교 신도 명단과 당원 명부의 매칭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검팀은 같은 날 언론 공지를 통해 “특정 명단의 당원 가입 여부를 시기를 특정하여 필요 최소한의 범위에서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교의 국민의힘 전당대회 개입 의혹은 2023년 전당대회를 앞두고 특정인을 대표로 선출하기 위해 2022년 12월부터 당원 명부와 통일교 신도 명단을 대조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6차 전당대회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당 대표 후보인 장동혁(오른쪽부터), 조경태, 김문수, 안철수 후보 등 참석자들이 김건희 특검의 당사 압수수색 관련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국민의힘은 당원 명부와 통일교 신도 명단을 ‘대조’한다는 사실 자체가 당원 명부 전체를 전제로 하는 수사라고 주장한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시기 및 대상의 범위와 무관하게 명단을 대조한다는 사실 자체가 당원 명부 전체를 훑겠다는 것”이라며 “특검팀은 당비 납부 여부를 확인하고자 당원들의 계좌번호까지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무리한 처사”라고 말했다.
특검팀과 국민의힘은 임의제출 형식을 두고서도 상반된 주장을 폈다. 특검팀은 국민의힘 측에 자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도 받을 의향이 있다고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문 특검보는 지난 14일 “압수수색영장이긴 하지만, (국민의힘 측에) 임의제출을 이미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임의제출 방식을 특검팀에서 언급한 바 없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당내에선 “정당의 성격상 임의제출 형식도 거부해야 한다”(재선 의원)는 주장도 나온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특검팀의 압수수색 이슈가 부상한 것도 양측이 합의를 어렵게 하고 있다. 당사에서 닷새째 특검팀 저지 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표 후보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오늘은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 합동 방송 토론이 열리는 날이다. 무도한 특검이 또다시 ‘빈집털이’ 압수수색을 시도할 수 있다”며 “모두 당사로 모여 비상전선을 구축하자”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