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압구정 조합원 100% 한강뷰? 250m 끔찍한 장벽 생긴다

본문

 길을 걷다 보면 저 건물은 왜 저렇게 생겼을까, 한번쯤 생각해 본 적 없으신가요? 튀는 건물도, 익숙한 건물도 생김새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건물뿐 아니라 사는 동네와 도시도 마찬가지죠. 건축을 전공한 기자가 도시공간을 해설해드립니다.

중앙일보 유료구독서비스 더중앙플러스 ‘한은화의 공간탐구생활(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306)’ 를 소개합니다.

한강.
서울시민이 꼽은 서울의 랜드마크 1위다. 서울시가 지난해 시민 5000명에게 랜드마크를 물었더니 50.1%가 한강을 꼽았다. 2위인 고궁(36.6%)과의 차이가 꽤 크다. 한강을 랜드마크로 인식하는 비율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특히 20대의 60.2%가 서울의 랜드마크로 한강을 지지했다.

만약 내 집에서 한강을 볼 수 있다면 어떨까. 집값은 억소리 나게 오를 것이다. 지금 서울 최상급지 압구정에서 한강뷰를 향한 욕망의 싸움이 펼쳐지고 있다. ‘조합원 100% 한강 조망’이 목표다.

17554619903368.jpg

성수대교에서 바라본 압구정 3구역의 모습. 최고층이 15층이다. 한은화 기자

17554619906041.jpg

성수대교에서 바라본 압구정 3구역 재건축 이후 예상도. 최고 높이가 250m다. 사진 서울시ㆍ조합안

이를 위해 지금껏 경험한 적이 없는 아파트 단지가 계획되고 있다. 압구정에는 한강변 최초로 250m 높이의 아파트가 들어선다. 국내 초고층 아파트 시대를 연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3차(73층ㆍ263m)가 한강변에 가득 늘어서 있는 상상을 해보면 된다. 심지어 이 초고층 타워가 판상형처럼 뚱뚱하다. 더 많은 집이 한강뷰를 가지도록 타워가 양 날개를 펼친 모양새다. 열린 단지라면서 외부인이 단지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강으로 향하는 공공보행통로를 단지 밖으로 치워버리려는 구역도 있다.

이제껏 본 적이 없는 새로운 한강 장벽의 탄생이다. 초고층 아파트 장벽이 한강변에 늘어서면 압구정 뒤편 동네의 조망권은 가로막힌다. 강북에서 강남으로 진입할 때도 청계산 등의 조망도 어려울 수 있다. 경관 사유화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강변 ‘천공권’(하늘을 볼 수 있는 권리)을 독점한다는 지적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조합원에게는 100% 한강 조망이라지만 시민들에게는 100% 한강 차폐인 상황”이라며 “한강변 대장주로 꼽히는 서초구 ‘래미안 원베일리’도 한강 조망이 되는 가구 수가 50% 수준인데 압구정은 너무 심하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시가 심의를 빨리 통과시키려고 재촉하고 있어 더 문제”라고 덧붙였다.

지난 4일 오전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소위원회는 치열했다. 신통기획으로 추진되는 압구정 2~5구역 중 아직 정비계획안이 통과되지 않은 압구정 5구역과 3구역의 안이 모두 상정됐다. 시에서는 두 안 모두 가결되길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심의가 열리자 위원들 사이에서 “이건 해도 해도 너무하다”는 아우성이 터져나왔다. 결국 압구정 구역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논쟁거리가 많은 3구역은 보류됐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5구역은 조건부로 통과됐다. 압구정에서는 왜 가능한 걸까. 여의도 아파트도 뚫지 못한 200m 높이를 압구정이 뚫은 이유, 이 한마디에 있었다.

17554619908443.jpg

초기 3구역 재건축안. 100% 한강 조망을 위해 한강변에 초고층 동이 전면 배치됐다. 사진 독자

압구정 재건축 구역은 총 1~6구역으로 나뉜다. 이 중 2~5구역이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대상지다. 재건축되면 네 구역 합쳐서 1만 가구가 넘는다. 유례없는 한강변 대단지인 데다 교통과 인프라, 학군 등을 다 갖췄다. 재력과 힘 있는 사람들이 사는 곳, 압구정을 대한민국 최상급지라고 꼽는 이유다.

17554619910909.jpg

서울 응봉산에서 바라본 압구정 현대아파트. 연합뉴스

시는 2023년 압구정의 신통 기획안을 확정했다. 신통기획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비사업의 인허가 절차 전에 민관이 협의해 공공성을 높이면서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기 위해 만든 제도다. 이를 통해 압구정 단지는 최고 50층 규모로 재건축한다는 밑그림이 그려졌다. 박원순 전 시장 때 만든 ‘한강변 35층’ 룰을 깼다. 오 시장은 2023년 3월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단조롭고 사유화된 한강변 재건축의 공공성을 강화해 리듬감 있는 도시경관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문제는 높이였다. 압구정은 50층에 만족하지 않았다. 오 시장도 압구정 주민들의 손을 들어줬다. “왜 자꾸 규제하냐, 민간에서 원하는 대로 하게 둬라”는 오 시장의 메시지가 시 내부에서 돌았다. 이후 서울시에서 압구정 높이 규제는 금지어가 됐다.

1755461991315.jpg

김경진 기자

오 시장 “규제 말라”, 압구정 77층 치솟았다  

결국 각 구역 조합안이 신통기획안과 180도 다르게 추진되기 시작했다. 높이 지을수록 더 많은 조합원이 한강뷰를 갖게 된다. 50층이 아니라, 한강변에 290m 높이의 77층 초고층 타워가 계획됐다. 현재 압구정 아파트는 최고 15층 규모다.

3구역의 경우 77층 동을 비롯해 총 22개 동 중에서 17개 동이 50층 이상으로 계획됐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서울시가 높이를 풀어주는 순간 자산가치 향상을 위한 욕망의 빗장도 함께 풀렸다”며 “가이드라인일 뿐이라지만 신통기획은 압구정에서 의미를 잃었다”고 지적했다.

17554619915423.jpg

압구정로에서 바라본 3구역 재건축 전후의 모습.

여의도도 못 뚫은 200m 높이를 압구정이 뚫은 것에 서울시는 항변한다. 하지만 도시계획 전문가들의 분석은 다르다. 250m 아파트가 한강변에 들어서면 어떻게 될까. 압구정은 조합원 100% 한강조망을 향해 어떤 변칙을 쓰고 있는 걸까.

※더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압구정 조합원 100% 한강뷰? 250m 끔찍한 장벽 생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8181

한은화의 공간탐구생활-또다른 이야기

"청담동 1번지에 웬 다이소냐"…열받은 건축가 '기밀' 깠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4828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10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