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뜬금없이 'Bela' 4글자 올린 트럼프…전세계 억측 쏟아졌다
-
4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미·러 정상회담 등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급박한 외교전이 전개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미디어에 느닷없이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게시글이 올라와 다양한 추측을 낳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오전 8시 31분 자신이 운영하는 트루스소셜에 아무런 설명 없이 “Bela”라는 알파벳 네글자를 올렸다.
알파벳 l이 2개 들어간 ‘bella’였다면 이탈리아어로 ‘아름다운’이라는 뜻이지만, 영어에서 ‘Bela’는 사람 이름이 아니라면 아무런 뜻이 없다.
실수로 친 오타가 우연히 게시됐을 가능성이 있어 보이지만, 의미를 찾아보려던 네티즌들은 혹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추진하는 ‘기본 교육법 수정안’(BELA·Basic Education Laws Amendment)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억측을 내놓기도 했다.
이 게시물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움직임도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앙숙 관계인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측은 이 게시물에 대해 “우리가 트럼프를 무너뜨렸다”면서 “작은 손 도널드(트럼프 대통령)가 자서전을 썼다. 안타깝게도(IQ가 낮아서) BETA(베타)를 잘못 썼다”고 했다. 베타는 ‘알파’(alpha)의 반대 개념으로 ‘무능함’을 뜻한다.

사진 SNS 캡처
트럼프 대통령이 의미를 알 수 없는 문구를 트윗으로 올렸다가 네티즌들의 흥미를 돋운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반트럼프 보수 단체 ‘링컨 프로젝트’는 SNS에 “트럼프가 새로운 ‘covfefe’를 떨어트렸다”고 조롱하기도 했다.
1기 행정부를 이끌던 2017년 5월 31일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X의 전신)에 “언론이 꾸준히 부정적으로 covfefe”(Despite the constant negative press covfefe)라고 올렸다가 6시간 뒤 삭제했다. 이미 네티즌들이 이 실수를 밈으로 비화시킨 이후였다.
당시엔 ‘coverage’(보도)의 오타로 보는 해석이 많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백악관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단독 회담 및 유럽 정상들과의 회동을 통해 러시아 협상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