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동영 “‘北, 대남 확성기 일부 철거’ 정부 발표 신중했으면 좋았을 것”

본문

17555051654713.jpg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제428회국회(임시회) 제1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안경을 벗고 있다. 뉴스1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대남 확성기를 철거했는지를 두고 혼선이 빚어진 데 대해 “(한국 군 당국이) 신중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것은 일리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에 북한도 대남 소음방송을 중단하면서 접경지 주민이 편안하게 잠들 수 있게 된 게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1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대남 확성기 관련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북한의 대남 확성기 철거 여부를 놓고 우리 군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상반된 주장을 한 데 대해 책임자를 문책해야 한다는 야당 요구와 관련해 정 장관은 “문책 사항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과 요구에는 “이해할 수가 없다”며 “확성기 철거 조짐이 있다, 앞으로 철거했으면 좋겠다는 희망사항을 이야기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참말, 거짓말의 문제가 아니라 확성기는 사실 박물관 가 있어야 할 유물”이라며 “국민 입장에서 보면 확성기 방송 중단으로 인해서 접경지역에서 편안하게 잠들 수 있는 효과가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9일 북한이 일부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14일 담화에서 “확성기들을 철거한 적이 없으며 또한 철거할 의향도 없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통일전선부 (통전부)가 사라진 상황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어떻게 열어갈 계획인가’라는 더불어민주당 김상욱 의원의 질의에 ‘적대적 2국가’ 기조에 따라 조직을 개편했다고 알려진 북한 노동당 통전부가 인력 등을 그대로 유지 중이라며 “대화 국면이 조성되면 대화의 파트너로서 남과 북이 마주 앉게 되리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최근 평양에 다녀온 제3국인에게통전부 간판은 없어졌는데, 그 건물 사무실과 사람은 그대로 있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2023년 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남북관계를 ‘적대적 2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통일전선부를 비롯한 대남기구들을 대부분 폐지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부서 명칭만 뗐을 뿐 인력은 그대로 남아있다고 들었다는 주장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 같은 맥락에서 대남 총괄기구인 통전부는 ‘노동당 10국’으로 개편됐다. 통상 북한 당 조직 구도상 국은 부서 아래에 있지만, 10국은 개편 이후에도 통전부의 예전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고 통일부는 분석한 바 있다. 북한 내부에서는 10국을 ‘대적지도국’으로 부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23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