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전후 우크라, 한국 모델 뜬다…"EU는 지상주둔, 美는 기술지원"
-
2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연합(EU) 정상들이 지난 18일 백악관에서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마친 뒤 걷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 정상들이 우크라이나의 안전보장을 위해 한국식 ‘완충지대’ 조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일간 라스탐파는 유럽연합(EU) 소식통을 인용해, 다국적군이 국경을 보호하는 한국식 완충지대 구상이 워싱턴에서 열린 회의에서 주요 의제로 다시 떠올랐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미군의 군사·병참·기술 지원을 바탕으로 EU·다국적군이 안보 통로를 보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수십 년간 한반도에서 유지돼 온 불완전하지만 현실적인 현상 유지를 연상시킨다고 이 매체는 분석했다.
미국의 핵심 역할
라스탐파는 이 계획이 단순한 시나리오가 아니라면서도, 실질적인 신뢰를 얻으려면 미국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특히 미국은 전략 수송 수단, 항공기, 방공 시스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위성 이미지와 드론 감시 정보를 AI 기반 분석과 결합해 실시간 병력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팔란티어 시스템 도입도 논의되고 있다. 이 경우 완충지대는 물리적으로뿐 아니라 디지털로도 감시되는 체계가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반도 모델과 차별점
이 구상은 영구적인 미군 기지를 두지 않고 유럽군이 지상에 주둔하며 미국이 기술을 지원하는 혼합형 배치라는 점에서 한반도식 모델과 차이가 있다. 라스탐파는 이 방식이 러시아의 나토 확장 반발을 완화하면서도 필요한 지상 인력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종전 협상 및 다양한 방안 검토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유럽 정상들은 백악관에서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을 포함한 종전 협상안을 논의했으며, 미국·유럽·우크라이나 3자 위원회를 구성해 구체적인 안보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영국 더타임스는 미국과 유럽이 선택할 수 있는 4가지 방안을 소개했다. △영국·프랑스가 무기·훈련 지원을 맡고 미국이 방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유럽 국가들이 방공 임무와 드론 감시 수행 △러시아 합의 위반 시 새로운 제재 부과 △나토 조약 5조와 유사한 집단 방위 공약 도출 등이 그것이다.
또한 미국이 한국·일본과 맺은 동맹 모델을 참고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주권국은 다른 나라와 안보 동맹을 맺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으며, 이는 미국이 아시아 동맹 구조를 우크라이나 안보 모델로 삼을 수 있음을 시사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