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꿀벌 폐사 주범 ‘꿀벌응애’, AI로 30초 만에 찾아낸다

본문

1755677946179.jpg

양봉장에 있는 벌통에 벌들이 모여 있다. 중앙포토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꿀벌응애’를 30초만에 찾아내는 인공지능(AI) 기반 장비가 나왔다. 양봉전문가도 육안으로 검사하면 벌집판 하나당 2분 이상 걸리는 작업인데, 시간을 4분의1로 단축한 데다, 정확도도 높였다.

20일 농촌진흥청은 세계 최초 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 장치 ‘비전’(BeeSion)을 강원대 모창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꿀벌응애는 꿀벌에 기생하며 전염병을 유발하는 해충으로, 성충의 크기도 1.6㎜에 불과한 데다 꿀벌과 비슷한 보호색을 띠고 있어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특히 뜨거운 여름철 고령 양봉인이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는 건 매우 고된 작업이다.

비전은 벌집판을 장치 위에 올려놓고 촬영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AI 분석이 진행된다. 벌집판 5~6개가 들어 있는 벌통 한 개 기준, 숙련된 양봉인도 30분 이상 걸리던 작업을 5분 이내에 마무리할 수 있고 분석 정확도는 97.8%에 달한다.

17556779464106.jpg

(세종=뉴스1) 김기남 기자 = 모창연 강원대학교 교수가 2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농촌진흥청과 함께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 '비전(BeeSion)' 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방혜선 농진청 농업생물부장은 “이 장치를 벌통 150개 규모 사육 양봉장에 적용할 경우, 연간 약 860만원의 수익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며 “기기 구매 비용 400만원은 1년 이내 회수가 가능하고, 농가 수요가 늘면 가격도 내려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전은 꿀벌응애 외에도 백묵병 등 질병 감염 꿀벌이나 날개 기형 꿀벌, 애벌레 이상 등 16가지 병해충 및 생육 정보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감염 수준에 따라 방제 권고ㆍ주의 단계ㆍ집중 방제 등 방제 기준도 제시한다.

농진청은 비전에 대한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올해 산업체에 기술이전을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 제품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후 현장 실증을 거쳐 2028년부터 전국 양봉농가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5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