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위, 석유화학 구조조정 금융지원…"비 올 때 우산 뺏지 않아야"
-
4회 연결
본문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석유화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권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위기에 직면한 석유화학 업종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금융지원을 본격화한다.
금융위원회는 21일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과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과 함께 ‘석유화학 사업재편을 위한 간담회’를 열고 채권금융기관 공동협약을 통해 기업 자금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석유화학 산업의 현황과 구조조정 방향을 공유하고 금융 지원 원칙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석유화학산업은 우리나라 산업 경쟁력의 근간을 이루는 기간산업으로 포기할 수 없지만, 더는 수술을 미룰 수 없는 처지”라며 “스웨덴 말뫼 조선업체 코쿰스가 문을 닫으며 대형 크레인을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넘긴 ‘말뫼의 눈물’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구조조정 원칙으로 ▲철저한 자구 노력 ▲고통 분담 ▲신속한 실행을 제시했다. 권 부위원장은 석유화학 기업들에 “뼈를 깎는 자구 노력과 구체적이고 타당한 사업재편계획 등 원칙에 입각한 행동을 보여달라”고 주문했다.
또 금융권에는 “기업이 사업재편 의지를 밝힌 만큼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함께 힘써달라”며 “사업재편 계획이 확정될 때까지는 기존 여신 회수 등 ‘비 올 때 우산을 뺏는’ 행위는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지역 경제와 협력업체, 근로자들의 어려움에 대한 배려도 요청했다.
금융권은 기업과 대주주가 자구 노력을 다하고 사업 재편 계획의 타당성이 인정될 경우 ‘채권금융기관 공동협약’을 통해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기업이 협약에 따라 금융 지원을 신청하면 기존 여신 유지를 원칙으로 하되, 구체적인 내용은 기업과 채권 금융기관 간 협의로 정해진다.
이날 회의에서는 나이스신용평가가 ‘석유화학산업 현황과 이슈 점검’을, BCG컨설팅이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위한 사업재편 방향’을 각각 발표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