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가전회사가 유리파우더 개발? LG전자 “신소재 더 키울것”
-
2회 연결
본문
LG전자 R&D센터 가보니

지난 20일 서울 금천구 LG전자 가산R&D센터 HS기능성소재 연구실에서 김영석 HS기능성소재사업실장이 미니 용광로를 설명하고 있다. 실제의 100분의 1 사이즈인 미니 용광로를 통해 ‘유리물’을 만들고, 이를 식혀 가루로 분쇄하면 ‘유리파우더’가 완성된다. 박해리 기자
지난 20일 오후 서울 금천구 LG전자 가산R&D센터의 HS기능성소재사업 연구실. 열기가 후끈한 ‘미니 용광로’ 옆에서 연구진들이 땀을 흘리며 유리 원재료의 열처리 작업을 하고 있었다. 내부 온도 1500도에 달하는 미니 용광로는 경남 창원 LG전자 공장의 실제 용광로를 100분의 1 사이즈로 줄여 제작한 것이다. 칼슘·은·아연·탄산염 등 기초 소재를 조합해 용광로에 넣고 액체 상태의 ‘유리물’을 만든 다음 이를 식혀 잘게 가루로 분쇄하면 ‘유리파우더’가 완성된다.
김영석 HS기능성소재사업실장은 “유리는 성분 조합에 따라 특성을 무궁무진하게 다양화할 수 있는 물질”이라며 “우리는 LG전자 안에 있는 소재 전문기업이나 다름없다”라고 말했다.
LG전자가 유리파우더 연구를 시작한 건 2006년부터다. 북미·유럽에서 주로 쓰는 전기 오븐레인지 내부에는 금속 표면에 유리질의 세라믹을 얇게 입히는 법랑 유리파우더가 쓰였다. 후발주자였던 LG전자는 레인지 내부에 묻은 음식물이 잘 닦이는 기능으로 차별화를 시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유리파우더를 사다 쓰던 경쟁사들과 달리 LG전자는 직접 소재를 개발하기로 했다. 연구개발 끝에, 2013년 마침내 물세척만으로도 기름때를 쉽게 닦을 수 있는 ‘이지클린’ 오븐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자체 개발 유리파우더를 입힌 성과였다.
김 실장은 “가전회사가 냉장고에 쓰이는 철판을 직접 생산하는 격의, 정말 무모한 도전이었다”라며 “내부에서도 ‘우리가 왜 이것까지 해야 해?’라는 반론이 많아서 제품 기술력을 높이며 설득했다”라고 설명했다.

유리 파우더의 모습. [사진 LG전자]
유리파우더 기술력을 축적한 LG전자는 최근엔 기능성 신소재 사업을 키우고 있다. 지난 2023년부터 ‘LG퓨로텍’이라는 브랜드로 유리파우더를 판매하고 있다. LG퓨로텍은 플라스틱·고무 등을 만들 때 첨가하면 미생물에 의한 악취·오염·변색을 막는 항균 소재다. 최근에는 연어 육상 양식기업 에코아쿠아팜과 협력해 연어 양식·가공 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데 LG퓨로텍을 쓰기로 했다.
추가상품 개발도 한창이다. 물에 잘 녹는 유리파우더의 특성을 활용해 오염물 제거 기능이 뛰어난 세탁세제 원료(‘미네랄 워시’)도 개발 중이다. 계면활성제를 덜 사용해도 돼, 세탁시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최근 실험을 위해 남극에 출장 다녀온 권유석 HS기능성소재사업실 선임은 “한 달간 세종기지 대원들에게 유리파우더로 세탁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세탁 효과 면에서 일반세제와 별 차이가 없다는 피드백을 받았다”라며 “남극에서도 친환경적인 세탁이 가능하단 걸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물고기 대상 독성 테스트에서 물고기가 유리파우더를 지속적으로 섭취하고도 수개월 간 생존했다고도 소개했다. 이를 역이용해 철·칼슘 등 무기영양염 등을 담아 해양 생태계 복원에 활용할 수 있는 ‘마린 글라스’도 개발했다. 해양 탄소 흡수원인 ‘블루카본’을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LG전자는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고성장하는 기능성 소재 사업을 빠르게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컨설팅기업 키어니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유리파우더 시장은 85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김 실장은 “현재 경남 창원에 연 4500톤(t) 규모의 생산 설비를 갖췄으며 베트남에도 생산시설 확충을 검토 중”이라며 “사업 3년 만인 내년에는 첫해 매출의 10배를 낼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