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복궁에 매직으로 '트럼프 대통령' 낙서…"제…

본문

17560091081736.jpg

지난 11일 서울 경복궁 광화문 석축에 남겨진 매직 낙서 흔적. 연합뉴스

최근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에 ‘트럼프 대통령’ 등이라고 적힌 낙서를 지우는데 1000만원 가까이 든 것으로 추산됐다.

24일 국가유산청 등에 따르면 경복궁관리소는 지난 11일 광화문 석축의 낙서를 제거하는 비용으로 최소 850만원이 쓰인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레이저 장비 등 전문기기를 대여하는 데 쓴 비용과 각종 물품 등을 고려한 것이다.

당시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소속 보존과학 전문가 5∼6명이 약 7시간에 걸쳐 복구 작업을 했다.

국가유산청은 잠정 비용을 토대로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복궁을 비롯해 광화문에 낙서하는 행위는 문화유산 훼손이다. 현행법에 따르면 낙서한 행위자에게는 원상 복구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복구에 필요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17560091083705.jpg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지난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궁 광화문 석축에서 낙서 제거 작업이 완료된 현장을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보존처리팀 관계자들과 함께 확인하고 있다. 뉴스1

앞서 경찰은 지난 11일 오전 광화문 석축에 낙서한 혐의(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위반)로 A씨(79)를 체포해 조사했다.

A씨는 이날 오전 광화문 석축에 검은색 매직으로 ‘국민과 세계인에 드리는 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낙서한 혐의로 체포됐다. A씨가 낙서하는 모습을 현장 근무자가 발견해 상황실에 알렸다.

A씨는 경찰에 체포된 직후 응급으로 입원하기도 했다. 응급입원은 정신질환자나 자·타해 위험이 큰 사람을 의사와 경찰 동의를 받고 의료기관에 입원시키는 것으로 최대 3일까지 가능하다.

당시 경찰은 “A씨가 상식적이지 않은 진술을 하고 있다”며 “70대 고령으로 심리적 안정이 필요한 점과 재범 우려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6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