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공·민간 가리지 않은 건설사고...100곳 중 3~4곳서 죽거나 다쳐

본문

17560126842743.jpg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 본 기사와 관계 없음. 연합뉴스

지난 13일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한 경북 영주 조경시설물 유지·보수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 1명이 나무에 깔려 사망했다. 사고는 고사목을 벌목하는 과정에서 나무가 예상과 반대편으로 넘어지며 발생했다. 안전거리만 확보했어도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 앞선 1일엔 민간 건설사가 짓던 경기도 평택 신축공사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1명이 추락사했다. 1층에서 작업을 하다 발을 헛디뎌 지하로 추락한 사고였다. 조사 결과 해당 현장엔 추락 안전망이 설치되지 않았고, 안전고리 등 개인 보호 장비도 지급되지 않았다.

24일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안전관리원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건설사고 6180건 중 공공 발주 공사는 3082건(49.9%), 민간 발주는 3098건(50.1%)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고가 공공·민간 발주를 가리지 않고 비슷하게 발생했다는 얘기다. 지난해 전체 공사 건수는 공공(8만7616건)이 민간(7만5283건)보다 많았는데, 사고 비율은 민간(4.1%)이 공공(3.5%)보다 소폭 높았다. 같은 기간 공공 발주 현장에선 3121명이 부상했고, 민간 현장에선 3124명이 다쳤다. 사망자는 민간(121명)이 공공(74명)보다 많았다.

공사비가 1000억원이 넘는 대형 현장에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에만 41명이 숨지고 2067명이 다쳤다. 대규모 건설 현장엔 근로자가 많아 안전 관리·감독이 어렵고, 위험한 작업도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공사 규모는 10억~50억원대였다. 이런 현장에서 53명이 사망하고 68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특히 시공사의 안전 불감증, 근로자의 미흡한 안전 인식 등 ‘안전 수칙 미준수’가 전체 사고 원인의 80.9%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른 사망자는 129명, 부상자는 4906명이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6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