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형에 자식 같은 대접"…라부부 꾸미기에 열올리는 中Z세대
-
4회 연결
본문

전통의상 입은 라부부. 사진 SCMP 캡처
세계적 인기몰이를 하는 캐릭터 인형 '라부부'가 중국 Z세대(1997년생 이후 출생) 사이에서 단순한 인형을 넘어 마치 자식과 같은 대접을 받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상자를 뜯기 전까진 어떤 제품이 나올지 알 수 없는 '블라인드' 판매 방식으로 화제를 모은 데 이어 최근에는 인형 전용 옷과 액세서리 구매 열풍까지 불고 있다는 것이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양대 쇼핑몰인 타오바오와 티몰(톈마오)에서 올해 5월 기준 인형 의상 판매 매출은 처음으로 1000만위안(약 20억원)을 넘어섰다. 올해 6월 중국의 '618 쇼핑 축제'에서 관련 상품 매출이 지난해 대비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타오바오 집계에서 나타났다. 구매자 80% 이상은 여성이었다.
SCMP는 소형 인형용 의류 시장의 폭발적 성장이 이른바 '돌 이코노미'(doll economy·인형 경제)의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Z세대들이 아끼는 인형을 옷과 악세사리로 꾸미고 이와 함께 여행을 가는 등의 문화를 즐기며 정서적 안정감을 찾는 데 따른 현상이라면서다.
중국 저장성에 사는 대학생 차이(21)는 최근 2년 동안 3000위안(약 58만원)을 인형 옷에 썼다. 그의 한 달 평균 생활비는 2000위안(약 39만원)이다. 그는 SCMP에 "구체관절인형(BJD)을 사랑하는 것은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 "한 번 의상을 사는 데는 300∼500위안(약 6만∼10만원) 정도 든다"고 말했다.
수집가인 얀시 팡은 "인형을 꾸미는 건 마치 작은 아이에게 옷 입히기를 하는 것 같다"라며 "옷을 입히면 더 귀엽고 생동감이 있어 나만의 아이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이런 변화에 주로 한국과 일본에 의류를 수출하던 중국 산둥성의 공장 중 최근 인형 의상 생산으로 눈을 돌린 사례도 늘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홍콩 출신 아트토이 작가 룽카싱이 디자인한 라부부는 중국 팝마트가 독점 유통하고 있다. 토끼처럼 생긴 귀에 상어와 닮은 입, 큰 눈 등이 특징이며, 그룹 블랙핑크의 리사와 팝스타 리한나 등이 소셜미디어에 소개하면서 인기가 높아졌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