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소설집 『양면의 조개껍데기』 낸 김초엽...“독자들에 소설이라는 편지 보낸다”
-
4회 연결
본문

김초엽 작가는 독자의 반응을 꾸준히 찾아본다고 했다. "독자들이 이 소설집을 재밌게 읽어주셨으면 좋겠다. 그것 말고 바랄 수 있는 게 없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27일 출간되는 김초엽(32) 작가의 소설집 『양면의 조개껍데기』(래빗홀) 속 표제작은 말 그대로 ‘양면의 자아’를 다룬 소설이다.
주인공인 ‘나’는 아침과 저녁에 행동하는 방식이 다르다. 한 사람에 대한 감정이 몇 시간마다 달라진다. 누군가는 변덕이 심한 사람 아니냐 묻겠지만,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나’는 다중(多重) 자아를 가진 ‘셀븐인’. 지금은 지구에 살고 있지만, 셀븐이라는 행성에선 서로 다른 자아를 조화롭게 다루며 살아가는 법을 배운다.
‘나’의 몸에는 라임과 레몬이라는 자아가 공존한다. 레몬이 홧김에 연인과 싸우고 이별을 통보하면, 라임이 오해를 풀고 관계를 개선해나간다. 마치 세 사람이 연애를 하는 것과 같다. 보통 이런 상황에서 셀븐인들은 자아를 분리하는 시술에 합의한다. 이 둘은 분리 시술을 받을 수 있을까? 분리하고 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까.
한국의 대표적 SF 소설가로 호명되는 김초엽은 이렇게 낯설고, 때론 불편한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다. 그는 2018년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대상과 가작에 선정되며 소설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2019)을 냈고, 책은 단숨에 베스트셀러가 됐다. 소설집 『방금 떠나온 세계』(2021) 이후 작가가 4년 만에 내놓은 세번째 소설집이 『양면의 조개껍데기』다.
지난 19일, 서울 마포구 중앙일보 사옥에서 김초엽 작가를 만났다. 소설집으로는 4년 만이지만 그동안 앤솔러지(하나의 주제로 여러 작가의 글을 모은 작품집) 참여, 중·장편소설 발표 등을 통해 매해 독자들과 만나왔다. 이번 단편집에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이미 발표된 작품 총 7편이 실렸다.

김초엽 작가의 신간 표지. 표제작인 '양면의 조개껍데기'는 2021년 여름 구상한 작품이다. 사진 래빗홀
이번 책에 실린 대부분의 작품은 몸과 마음의 관계를 다뤘다. “어릴 적부터 관심을 가진 인지과학에 영향을 받아 쓴 작품들이 많다. 특히 감정은 뇌만 느끼는 게 아니라, 몸 또한 느낄 수 있다는 최신 인지과학의 관점에 흥미를 갖게 됐다.”
작가의 관심사와 작품을 대하는 태도는 학계에 몸담았던 그의 배경과 연결된다. 포항공과대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생화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개인으로 발표한 소설 단행본만 일곱권 째인 그는 ‘소설의 소재는 어떻게 관리하냐’는 질문에도 “연구의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매번 논문의 끝에 다음 연구를 위한 질문을 남겨두듯, 소설을 쓸 때도 무의식적으로 지난 작품 속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쓰게 된다”는 것이다. 그의 소설들을 순서대로 읽었을 때 소재의 연결감 혹은 발전성이 느껴지는 이유다.

김초엽 작가는 "이야기가 큰 힘을 가질 수 있다면 그건 그 시대의 독자들이 이야기에 힘을 부여하기 때문"이라며 "작가가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는 반면, 운이 좋게 시대와 작품이 조응하면 독자들에 의해 힘을 갖게 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표제작 ‘양면의 조개껍데기’에서 성별 불일치감(젠더 디스포리아)을 느끼는 자아를 등장시킨 것도 지난 소설에 사용된 설정과 연결된다. 그는 소설집 『방금 떠나온 세계』(2021)의 ‘로라’라는 작품에서 자신에게 세 번째 팔이 있다고 믿는 여자를 주인공으로 다룬 적이 있다.
그즈음 세 명 이상의 사람이 서로를 독점하지 않고 연애하는 다자(多者)연애자(폴리아모리)와 관련한 에세이를 읽으며 “이 역시 평범한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하는 연애인데, 방식이 다른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게 됐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성별 불일치감을 느끼는 두 자아가 한 사람과 연애하는 설정의 소설이 탄생했다.
김초엽 작가가 쓴 SF 소설은 현실을 연상케하지만, 현실의 문제를 단순 소재로만 소비하진 않는다. 상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SF 장르의 특징을 살리며, 소설과 현실 각각의 시공간에서 고민해볼 만한 질문을 던진다. 그는 “현실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만 SF 작품을 읽거나 쓰는 건 장르의 가능성을 억누르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작가가 생각하는 SF 장르만의 힘은 현실과 느슨하게 연결됐을 때 비로소 발휘된다. 김초엽은 “일상적인 내용의 소설을 읽을 때보다, 상상력을 더해 낯설게 다가가는 SF 소설이 독자에게 강하게 각인을 남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김초엽 작가의 작품 속 인물들은 무언갈 탐색하고 마음을 끝없이 두드리는 경우가 많다. 그는 "열려있는 마음을 갖는 것이 사회를 더 좋게 만들어주는 면이 있다고 본다"며 "그런 사람들이 세상의 어두운 면에 빛을 더해줄 수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이번 작품에 작가가 변치 않고 사용한 소재·형식이 있다면 ‘편지’다. 친한 언니에게 ‘인공장기 배양 회사’에서 일했다고 고백하는 주인공의 편지로 시작하는 ‘수브다니의 여름휴가’와 주인공이 자신의 자아들에게 편지를 보내는 형식의 소설 ‘진동새와 손편지’ 등 편지를 활용한 작품이 세 편 담겼다. 그는 “편지는 시차가 있는 글이라 좋다”고 이유를 밝혔다. “발신인이 글을 쓴 시간과 수신인이 글을 받은 시간 사이의 ‘빈 공간’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초엽에게 소설은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다. “편지랑 소설이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소설 뒤에 생기는 빈 공간에 숨는 게 좋고, 독자들은 빈 공간을 상상할 수 있어 좋다. 나에게 적합한 소통의 방식이라고 여긴다.” 독자에게 한 차례 편지를 보낸 그는, 이제 긴 편지를 쓸 준비에 들어간다. “늦가을부터는 차기작인 장편소설 작업에 들어가보려 한다”고 계획을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