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트럼프 2기 때 1500억 달러 대미투자…“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연다”

본문

17562022747337.jpg

류진 한경협 회장(오른쪽)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러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한국경제인협회

‘보잉 항공기 103대 사는 대한항공, 미국에 로봇 공장 짓는 현대차….’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국내 기업들이 트럼프 2기 행정부 때 1500억 달러(약 209조원) 규모의 대미투자를 집행하기로 했다. 미국의 혁신기술과 한국의 제조 경쟁력을 결합해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를 열겠다는 전략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5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서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이런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부터 조선·원자력 등 전략산업, 그리고 공급망과 인재 육성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미국이 함께한다면 제조업의 새로운 황금시대를 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양국 기업들은 조선·원자력·항공·액화천연가스(LNG)·핵심 광물 분야에서 총 11건의 계약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17562022749535.jpg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항공은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인 499억 달러(약 70조원)를 투자한다. 미국 보잉의 항공기 103대를 사들이고, GE에어로스페이스로부터 예비 엔진 19대 등을 구매한다. 아시아나항공과 통합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항공기를 대량 구매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그룹도 지난 3월 발표한 4년간 210억 달러(약 29조원) 투자에 50억 달러(약 7조원)를 더 보탠다. 3만대 규모의 로봇 공장을 미국에 신설하는 계획이 추가되면서다. 현대차그룹은 미국에 로봇 계열사 보스턴다이나믹스를 두고 있다.

지난달 관세협상 타결에 기여한 조선업에선 구체적인 협력 계획들이 나왔다. HD현대는 미국과 동맹국의 해양 역량을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공동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삼성중공업도 미 해군 함대 유지·보수·정비(MRO) 사업과 현지 조선소에서 상선 건조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한화오션은 26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의 필리조선소 방문 시 추가 계획을 공개할 가능성이 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오늘 발표한 기업들의 투자는 미국에 대한 직접투자(FDI)이고, 3500억 달러 펀드와는 별개”라고 말했다.

17562022751754.jpg

허태수 GS 회장(왼쪽 두 번째)과 구자은 LS 회장(왼쪽 네 번째)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미국의 로저 마르텔라 GE버노바 CCO(왼쪽 세 번째), 디렌드라 바마 허니웰 CSO(왼쪽 첫 번째)와 협력 방안을 논의,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 GS

이날 행사에는 류진 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김상현 롯데 부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허태수 GS 회장, 조원태 한진 회장, 이재현 CJ 회장, 구자은 LS 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등 한국을 대표하는 총 16명의 기업인이 참석했다. 미국 측에서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구글, IBM, 보잉 등의 최고위급 인사 21명이 함께했다.

17562022754011.jpg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포옹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전 관련 MOU도 4건 체결됐다. 한국수력원자력과 ‘원 팀’으로 뛰는 두산에너빌리티가 아마존웹서비스(AWS), 엑스-에너지(X-energy)와 소형모듈원자로(SMR)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 대표 성과다.

고려아연은 세계 1위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구매와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MOU를 맺었다. 중국이 세계 게르마늄 생산량의 68%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핵심광물 분야 ‘공급망 동맹’을 구축하는 효과가 있다.

이번 경제사절단은 확실한 대미 투자와 한·미 협력이 가능한 산업을 대표하는 ‘소수정예’ 기업인으로 꾸려졌다. 단순히 생산시설 확대를 넘어 새로운 차원의 양국 경제 협력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국내 주력 산업은 중국과 경쟁이 거세지고 있고 미 시장 규모도 크기 때문에, 기업들이 양국 공동으로 제조업을 부흥시키는 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 관련기사

  • 17562022756291.jpg

    경제인 16인 방미 동행…트럼프 달랠 투자 보따리 꾸렸다

  • 17562022758509.jpg

    보잉 103대 구매한 '큰손' 대한항공...현대차는 美에 로봇 공장

  • 17562022760726.jpg

    “한국서 선박 구매” 꺼낸 트럼프...조선 빅3는 美협력·투자 구체화

  • 17562022762849.jpg

    이재용-젠슨 황-최태원, 반도체 어벤저스 회동의 의미는?

  • 17562022764921.jpg

    美 아마존·록히드마틴 손잡은 두산·고려아연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4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