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당국, MBK 전격 현장조사…‘홈플러스 사태’ 다시 정조준

본문

홈플러스 사태 해결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금융당국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대한 추가 조사에 착수했다.

17562827029214.jpg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가 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사회적 대화 기구 구성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전부터 MBK파트너스 본사에 인력을 투입해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3월 검사를 통해 MBK파트너스 경영진이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하면서,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며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관련 내용을 검찰에 통보했었다.

이번 재조사에서 금융당국은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 과정에 대한 의혹 전반을 추가로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홈플러스 차입인수(LBO·레버리지드 바이아웃)에 대해 MBK파트너스가 투자자들에게 제대로 설명을 했었는지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영국 테스코에게 홈플러스 경영권을 역사상 최고가인 7조2000억원에 인수했다. 하지만 인수 자금 중 2조7000억원을 홈플러스 부동산 담보로 대출받아 조달하는 차입인수 방식을 택했다. 무리한 차입인수로 홈플러스 경영에 부담이 갔고 결국 기업회생절차 신청까지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금감원 관계자는 “홈플러스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MBK파트너스가 펀드 투자자(LP)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차입인수 내용을 제대로 설명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따져볼 예정이다”라면서 “결국 무리한 인수 자금 마련이 경영 악화의 원인이 됐는데, 투자자들에게 이런 부분에 대해 제대로 된 설명이 없었다면 불공정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고 했다.

금융당국이 이미 검찰 통보까지 했던 사안을 다시 끄집어내 재조사에 들어간 것은 지지부진한 홈플러스 사태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최근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15개 점포를 폐점하겠다고 일방적으로 밝히면서, 여론을 질타를 받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 3월에는 홈플러스 단기 사채 발행 과정의 문제만 일단 빠르게 확인해 검찰에 통보한 것이고 인수 과정 의혹에 대해서는 결론을 못 내렸었다”면서 “이번에 이 부분을 좀 더 집중적으로 보기 위해 재조사에 들어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MBK파트너스 재조사에는 이찬진 신임 금감원장의 의중도 반영됐다. 이 원장은 과거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장 때 “(국민연금이) MBK 파트너스에 투자하거나 위탁운용사로 선정하는 것은 가입자인 국민에 대한 배임 행위”라며 비판적 입장을 드러냈었다. 이에 앞서 지난 21일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국회 정무위원회에 전체회의에 참석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감독 당국 조치가 가능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밝혔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54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