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강남 3구·한강벨트 지역 거래 줄어들자…서울 아파트값 29개월 만에 ‘10억 이하’

본문

이달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이 29개월 만에 10억원 밑으로 떨어졌다. 27일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이달 실거래 신고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848건이다. 하루 평균 68건꼴이다. 거래가 급증했던 지난 6월(일평균 402건) 대비 83.1% 줄었다. 이달 매매된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액은 9억832만원. 전달(12억8647만원)보다 29.4%, 6월(13억3818만원)과 비교하면 32.1%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월간 평균 거래액이 10억원을 밑돈 것은 2023년 3월(9억7736만원) 이후 처음이다. 6·27 규제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한강벨트 지역 거래가 얼어붙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17563078476568.jpg

박경민 기자

대출 한도가 줄면서 입주권·분양권 매매도 반 토막이 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규제 시행 이후 두 달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입주·분양권 매매는 110건이다. 규제 직전 두 달(225건)보다 51.1% 감소했다.

이와 관련,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지난 19일 “부동산 시장이 너무 냉각되는 것도 경제를 위해 옳지 않다”며 “톤 앤드 매너를 조절하는 게 부동산 시장에 대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17563078478816.jpg

박경민 기자

다만 “최근 서울 거래량 급감은 대출 규제 영향뿐 아니라 향후 정책 방향의 불확실성에 따른 것이다. 2~3개월 뒤부터 거래량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금은 대출 규제에 억눌려 있지만 불만 붙으면 언제든 타오를 수 있는 ‘잠재 수요’가 잠복해 있어서다. 무엇보다 공급 부족 우려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여전하다. 정부의 완화적 통화정책과 재정 확대 기조로 시장에 풀린 돈도 많다.

관심은 9월 초 발표될 주택 공급대책에 모인다. 통상 대출 규제 효과가 3~6개월에 불과한 점을 고려할 때 이번 공급 대책은 향후 부동산 시장 향방을 가를 분수령이다. 시장에서는 ▶3기 신도시 조기 공급 ▶공공 주도 도심복합사업과 공공 재개발 ▶유휴 부지 개발과 국·공유지 활용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등의 정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9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