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나홀로 오르는 주담대 금리, 4%선 다시 눈앞
-
2회 연결
본문
주담대 금리 역주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두 달 연속 상승하며 다시 4% 선에 바짝 다가섰다. 대출금리의 지표가 되는 시장금리가 하락하는데 ‘역주행’이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을 줄이기 위해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축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지난달 전체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 금리는 연 4.2%로 전달(연 4.21%)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12월(연 4.72%) 이후 8개월 연속 내림세다.
그러나 가계대출 세부 항목별(담보 기준)로 살펴보면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96%로 오히려 6월(연 3.93%)보다 0.03%포인트 올랐다. 연초 이후 넉 달 연속 하락했지만, 6월 반등해 두 달 연속 오름세다.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달 연 5.34%로 한 달 사이 0.31%포인트 뛰었다.
한국은행이 지난 2월과 5월에 걸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주담대 준거 금리로 활용되는 5년 만기 금융채 금리는 올해 꾸준한 하락세다. 금융채(은행채·AAA) 5년물 금리는 지난달 31일 연 2.847%로 한 달 전(연 2.864%)보다 0.017%포인트 내렸다. 연초에는 연 3%를 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주담대 금리 상승세는 이런 시장 금리를 거스르고 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일부 은행이 5~6월 대출 가산금리를 인상하고 우대금리를 축소한 영향이 1~3개월 시차를 두고 나타나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랐다”고 말했다. 대출자는 올해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인하를 체감하기 어렵다.
문제는 주담대 금리가 연말까지 고금리 행진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이다.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여파로 은행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목표)을 연초 계획보다 50% 감축해야 해서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권 관계자는 “(지난 6월) 규제 전 한꺼번에 쏠렸던 대출 신청을 차례로 실행(공급)하는 것만으로도 월별 관리 한도를 채웠다. 신규 대출을 추가로 공급하는 게 쉽지 않다”며 “대출 총량 관리에 주력하면 연말까지 주담대 금리는 4% 초반대가 뉴노멀(새 기준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달 은행권이 대출모집인(대출 상담사)을 통한 대출 창구를 일제히 닫은 이유다. 신한은행을 비롯해 하나은행과 농협은행의 대출모집인은 다음 달 실행 예정인 주담대와 전세자금 대출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실행 시점과 상관없이 아예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지난달 신용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뛴 것도 6·27 대출 규제 영향이다. 신용대출 한도가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됨에 따라 고신용자 대출자의 신규대출이 줄면서 평균 금리가 높아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주담대와 신용대출 금리가 올랐는데도 전체 가계대출 금리가 하락한 것도 상대적으로 금리 수준이 높은 신용대출의 비중이 축소된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반면 수신금리 하락세는 두드러진다. 예금은행의 지난달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51%로 한 달 새 0.04%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말(연 3.21%)과 비교하면 7개월 동안 0.7%포인트 깎였다. 그 결과 예금과 대출의 금리 격차(예대금리차)는 지난달 1.55%포인트로 확대됐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출 수요를 눌러서 집값을 안정화하는 대책은 단기적 효과에 그칠 수 있다”며 “자칫 대출 규제가 과도하면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 있다. (대출) 실수요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