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머스크 ‘화성행 우주버스’ 한발 더
-
3회 연결
본문

일론 머스크(사진)가 ‘인간 화성 보내기’ 꿈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그가 소유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26일 오후 6시30분(현지 시간) 미국 텍사스주 스타베이스 발사장에서 초대형 우주선 스타십 의 무인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올해 7~9차 비행에 연달아 실패하며 난관에 부딪히는 듯 보였으나, 9개월여 만에 이뤄진 10차 발사에선 별다른 문제없이 지구 궤도를 비행했다. 머스크는 향후 스타십을 ‘화성행 우주 버스’로 활용할 계획이다.
스타십은 이날 이륙 약 2분 50초 뒤 1단 로켓인 슈퍼 헤비를 분리했다. 2단부인 우주선 본체(스타십)는 순조롭게 비행하다가 모형 위성 8기를 궤도에 배치했다. 이전 시험비행 땐 우주선 문이 열리지 않아 실패했던 실험이다. 이후 스타십은 예정된 항로를 따라 약 66분간 비행한 뒤 인도양에 착수했다. 머스크는 시험비행이 완료된 뒤 X(옛 트위터)에 “스페이스X 팀이 해낸 위대한 일”이라며 축하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스타베이스 발사장에서 스페이스X의 초대형 우주선 스타십이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스타십은 길이 52m, 직경 9m 크기다. 1단부 발사체인 슈퍼 헤비(길이 71m)까지 더하면 전체 길이가 123m에 달한다. 지금껏 미국이 만든 가장 큰 로켓인 새턴V(110.6m)보다 더 길다.
이번 성공은 스페이스X의 향후 수익 전망을 높이는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현재 주력 로켓인 팰컨9보다 훨씬 더 큰 스타십을 이용하면 새로 개발한 첨단 위성을 한꺼번에 더 많이 우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스타십은 이번에 착수하면서 수면에서 몇 초간 직립 상태로 서 있는 모습도 보여줬다. 머스크가 오랫동안 목표로 해온 스타십의 ‘재사용’ 가능성을 높인 것이다. 스페이스X는 팰컨9의 1단 추진체를 재사용해 발사 주기와 비용을 기존 로켓보다 크게 줄였다. 스타십이 기체 전체를 재사용할 경우, 스페이스X의 로켓 발사 역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머스크가 2002년 스페이스X를 만들며 목표로 세웠던 ‘인류의 화성 이주’에도 한발 더 다가가게 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반세기 만에 다시 달에 우주비행사를 보내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착륙선으로 스타십을 선택했다. 스페이스X는 유인 달 탐사에 성공한 뒤 이 데이터를 기초로 스타십을 ‘화성 탐사선’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머스크는 지난 3월 스페이스X 창립 23주년을 맞아 X에 “스타십이 내년 말에 옵티머스(인간형 로봇)를 태우고 화성으로 출발한다”며 “착륙이 잘 되면 유인 착륙은 이르면 2029년에 시작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