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닻 올린 '마스가'…미국 해군력 증강, 한국이 직접 돕는다
-
4회 연결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필라델피아 한화 필리조선소를 방문해 현장 시찰을 한 뒤 방명록에 서명 후 박수를 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중인 26일(현지시간) 미국의 조선업 부활을 지원하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에 미 군함 건조도 포함된다고 처음 밝혔다. 이는 미 해군력 증강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게 될 수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미 필라델피아의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다목적 함정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의 명명식에서 “제가 트럼프 대통령께 제안한 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프로젝트는 단지 거대한 군함과 최첨단 선박을 건조하겠다는 비전만이 아니다. 사라진 꿈을 회복하겠다는 거대한 비전”이라고 밝혔다. 마스가 프로젝트를 통해 실현하려는 비전을 제시하면서 군함 및 최첨단 선박 건조를 전제로 든 셈이다.
전날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한국의 조선 역량을 통해 미국과 조선 협력을 크게 늘려나가겠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언론 브리핑) 이 대통령의 이날 연설은 정상회담에서 자신이 직접 마스가 프로젝트에 대해 트럼프에 설명했다는 뜻으로 읽히는데, 군함 건조를 언급한 건 단순한 조선업 협력을 넘어 안보 협력까지 포괄하는 의미가 된다.
이 대통령이 “이곳 필리조선소를 통해 72년 역사의 한·미 동맹은 안보 동맹, 경제 동맹, 기술 동맹이 합쳐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의 새 장을 열게 될 것”이라고 한 대목도 이를 뒷받침한다. 전날 트럼프도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우리는 한국과 몇몇 선박을 계약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한국에서 배를 구입할 것이지만, 우리 국민과 함께 배를 만들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군함 건조 비전’의 구체적인 내용은 부연하지 않았다. 이는 미 해군의 항공모함·구축함·잠수함 등 전투함을 미국이 건조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돕거나, 한국 조선 업체가 미 군함을 직접 만드는 방안 등 양쪽 모두로 해석 가능하다.
이 대통령은 “2차 세계 대전의 승리를 이끈 50여 척의 군함이 이곳에서 탄생했고, 500여 척의 함정이 이곳의 손길을 거쳐 다시 바다로 나아갔다”며 “필라델피아의 앞바다를 가르며 나아간 함정들은 한국전쟁의 포화 속에서 고통 받던 대한민국 국민을 구해냈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게 탄생한 대한민국의 조선업이 이제 미국의 해양 안보를 강화하고 미국 조선업 부활에 기여하는 새로운 도전의 길에 나서게 된다”고 말했다. 필리 조선소의 군함 건조 역량을 언급한 건 한국이 인수한 이 곳에서 한국의 기술을 지원해 군함을 건조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읽힐 여지가 있다.
한국의 군 통수권자가 미 군함 건조 가능성까지 시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금까지 가시화 된 한·미의 조선 협력은 미 해군의 비전투함인 군수지원함의 유지·정비·보수(MRO) 사업 수주 정도였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애초에 군함을 빼고 마스가 프로젝트를 논의할 수 없었을 것”이라면서 “미국이 조선업을 부활시키고자 하는 배경에도 해군력 증강이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현재 미국은 상선은 존스법을 통해, 군함은 번스-톨레프슨법을 통해 자국 조선소에서만 건조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 의회에선 올초부터 동맹국에 군함 건조를 맡길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자는 움직임이 있다.

중국이 최근 서해에서 실시한 군사훈련에 투입했던 항공모함 푸젠함. 중국 당국은 이 항모의 전력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배경엔 압도적인 선박 건조 역량을 바탕으로 한 중국 해군력의 굴기에 대한 위기감이 작용했다. 앞서 미 해군정보국(ONI)은 중국의 연간 선박 생산 능력을 2325만GT(총톤수)로 추산했다. 미국(10만GT)의 232배에 달한다는 평가다. 미 의회는 지난해 9월 보고서에서 중국 해군의 함정은 2030년까지 435척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미 해군은 지난해 기준 296척, 2030년까지 294척의 전투함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 해군력 증강 협력에 대해 한·미 국방 당국 간에는 이미 교감이 이뤄졌다고 한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 5월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첫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에서 한·미 실무자들은 한국의 군함 건조 능력과 의사에 관해 의견 교환을 했다. 7월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 장관 간 첫 공조 통화 이후 국방부의 보도자료에도 한·미 동맹의 ‘상호 호혜적 현대화’와 함께 ‘조선·MRO 등에서의 동맹 협력’이란 내용이 담겼다.
이는 중국의 반발로 이어질 수 있다. 앞서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18일 논평에서 “한국 또는 일본 로고가 부착된 배들이 제3국에 대한 미국의 군사 작전에 사용될 경우 이는 한국이나 일본에 잠재적으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군사적 대응을 시사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방명록에 전날 트럼프 대통령에게 선물한 것과 같은 펜으로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적었다. 이 대통령과 참석자들은 기념사진을 촬영하면서 엄지손가락을 세운 채 “마스가”를 외쳤다.
이날 일정에는 마스가 프로젝트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동행해 생산 설비를 하나하나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이 대통령에게 자신들의 선박 건조 기술을 설명했다. 김 부회장은 “미국의 미래 해양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현대적이고 세계적인 수준의 선박, 앞으로 수 세대에 걸쳐 미국의 해양 안보 태세를 보장해 나갈 선박 같은 모든 가치와 의미를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가 담고 있다”며 “한화는 미국 조선산업의 새로운 장을 함께 할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