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안리·전포동 뜨고, 원도심은 하향세...부산 상권은 지각 변동

본문

17563476621283.jpg

지난해 11월 불꽃축제가 열린 광안리해수욕장 일대 모습. 송봉근 기자

부산에서 MZ세대(20~40대 초반)들이 많이 몰리는 광안리와 전포동 상권이 지난 10여년간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갈치시장과 국제시장이 있는 중구·동구 등 원도심은 쇠퇴 경향을 보였다.

28일 동남지방통계청의 ‘부산지역 주요상권 변화(2015~2024년)’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지역 55개 주요 상권의 사업체 수는 총 9만4686개로 2015년(9만2336개)보다 2.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종사자 수도 같은 기간 5만 2634명으로 5260명(11.1%)이 증가했다. 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2015년 14억600만 원에서 2023년 16억2500만 원으로 15.6% 늘었다.

이런 가운데 광안리와 전포동 상권이 MZ세대와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이 찾으면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안리해수욕장을 따라 광안동에서 남천동으로 넘어가는 광일맨션 정류장 상권은 2015년 284개에 불과했던 사업체 수가 지난해 1115개로 늘며 292.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에 광안대교 야경 등 즐길 거리가 많아 젊은 세대와 관광객들이 몰리면서 카페·음식점·술집 등이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광안리 상권이 확대되면서 부산도시철도 2호선 수영역 7번 출구 상권도 46.5% 늘었고, 민락동 광민지구대 상권도 3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의 대표 상권인 서면은 여전히 강세였지만 변동성은 컸다. 지난해 기준 9289개의 점포가 있는데 같은 해 985개의 점포가 새로 문을 열고 964개가 문을 닫았다. 사실상 하루가 멀다하고 간판이 바뀐 것이다. 서면 내 상권별로도 희비가 엇갈렸다. 서면역 13번 출구 (IBK기업은행)상권은 9.8% 감소했고, 카페거리로 불리는 전포역 8번 상권은 2015년보다 1018개 늘어 76.1% 급증했다. 사실상 서면 상권의 중심축이 전포쪽으로 옮겨갔다는 의미다.

17563476623764.jpg

부산 전포 카페거리 모습. 송봉근 기자

관광과 주거 수요가 맞물린 부산 외곽 상권의 성장도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곳이 호텔과 리조트가 몰려 있는 해운대구다. 해운대구는 3개 주요 상권이 16.2% 늘었고, 수영구도 80.8%가 증가했다. 아난티와 롯데월드 부산, 이케아 등 관광·쇼핑·리조트가 몰려 있는 기장군도 24.1% 늘며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이어지는 원도심 상권은 전반적으로 쇠퇴 경향이 뚜렷했다. 중구 남포역 7번 출구 상권은 사업체가 2015년 1만269개에서 지난해 8748개로 14.8% 줄었다. 동구 범일역 1번 출구 상권은 같은 기간 24.6% 감소해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부산역 7번 상권도 8.3% 줄며 하향세였다.

17563476626473.jpg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롯데월드 부산을 찾은 관람객들이 퍼레이드를 관람하고 있다. 송봉근 기자

부산 전체 개업 점포는 2015년 1만1806개에서 지난해 9692개로 17.9% 줄었다. 부산지역 55개 상권 유급 종사자 수는 2015년 4만7374명에서 지난해 5만2634명으로 11.1% 늘었다. 특히 서면역 8번 상권에서만 772명이 증가했고, 전포역 8번 상권 종사자는 459명에서 936명으로 늘면서 103.9%의 증가율을 보였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5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