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석유화학 서산, 철강 포항 ‘산업위기지역’ 지정
-
4회 연결
본문
정부가 충남 서산시와 경북 포항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인 대산석유화학단지가 있는 서산시는 석유화학산업 위기와 맞물려, 포항시는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정부 산업위기 대응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서산·포항시를 이날부터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지역 주축 산업이 어려움을 겪자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중앙정부에 도움의 손길을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두 지역에 각종 지원을 시작한다. 당장은 긴급 경영안정자금 및 각종 대출 지원이 이어진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10억원 한도에서 3.71%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 대출을 제공한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2.68% 금리로 2년 거치 5년 만기로 최대 7000만원을 대출해 준다.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비율도 대기업 설비투자의 경우 기존 4∼9%에서 12%로 상향 적용된다. 중소기업 설비투자의 경우 8∼15%에서 25%로 높아진다.
정책금융 기관은 중소기업 만기 연장, 상환 유예를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은 협력업체·소상공인 대상 우대 보증 지원 프로그램을 내놓는다.
서산시의 경우 여수시에 이어 석유화학산업 위기로 지정된 두 번째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이 됐다. 석유화학업계는 중국발 공급과잉→글로벌 가격 하락→한국 등 경쟁국의 수익성 악화의 과정을 밟고 있다. 포항시는 포스코의 제철소가 있다. 철강도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인해 시장 가격이 떨어지고 경기가 침체하면서 수요가 줄었다. 산업부는 “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맞춤형 대책도 추가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