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TR, 튀르키예 TSE와 전기전자 인증 협력 협약
-
4회 연결
본문

KTR 김현철 원장(오른쪽)이 튀르키예 TSE 마뭇 사미 샤힌 회장과 상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T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원장 김현철)이 수출기업의 튀르키예 및 EU 인증 부담 경감을 돕기 위해 현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KTR 김현철 원장은 28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TSE(튀르키에 표준원)의 마뭇 사미 샤힌(Mahmut Sami Sahin) 회장과 양국 전기전자 인증 상호 협력 및 CE인증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TSE는 튀르키예의 유일한 국가인증기관(National Certification Body, NCB)으로, 튀르키예 표준 관리 및 시험, 인증 서비스를 비롯해 국가표준(TS) 제정, 보급 및 유럽 CE 인증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KTR 역시 국가인증기관(NCB) 위상을 갖고 있다.
협약에 따라 튀르키예 시장으로 전기전자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은 KTR의 CB(Certification Body, 인증기관) 시험성적서로 유럽 수출에 필수적인 CE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또한 KTR 성적서로 튀르키예 진출에 필수인 TSE인증 획득도 가능하다.
튀르키예는 EU회원국은 아니지만 관세동맹 등을 통해 가전제품, 전기차 충전기 등 전기전자 제품군의 자국 시장 유통에 CE인증을 튀르기예 TSE 인증과 동일하게 인정하고 있다. 단, CE인증이 없거나 튀르키예 정부 규정 대상 품목은 반드시 TSE 인증을 취득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튀르키예 전기전자 제품도 TSE의 CB 시험성적서로 KTR을 통해 KC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양 기관은 상호 기술규제 대응 등 다양한 협력사업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KTR은 산업 거의 전 분야에 걸쳐 국제 공인 시험기관 지정을 받아 시험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53개국 257개 기관과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해외인증 획득 지원 등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을 돕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시험인증기관이다.
KTR 김현철 원장은 “이번 협약으로 국내 전기전자제품 제조기업의 튀르키예 수출이 보다 간편해지게 됐다”며 “튀르키예 유일 국가인증기관인 TSE와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 튀르키예 및 유럽 수출기업의 시장 확대를 적극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