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4성 장군’ 7명 전원 물갈이, 합참의장에 공군 진영승
-
6회 연결
본문
이재명 정부가 첫 군 수뇌부 인사에서 육·해·공군의 현역 4성 장군(대장) 7명을 전원 교체했다. 12·3 비상 계엄 사태 당시 중심에 선 군 조직의 쇄신에 방점을 둔 인사로 풀이된다.

김주원 기자
국방부는 1일 현재 7석인 대장급 인사를 전원 바꾸는 진급·보임 인사를 발표하고 ‘현역 군인 서열 1위’인 제45대 합동참모의장에 진영승 전략사령관(56·공군 중장·공사 39기)을 지명했다고 밝혔다.
육군참모총장에는 김규하 미사일전략사령관(56·육군 중장·육사 47기), 해군참모총장엔 강동길 합참 군사지원본부장(55·해군 중장·해사 46기), 공군참모총장에는 손석락 공군 교육사령관(57·공군 중장·공사 40기), 한·미연합사부사령관에는 김성민 5군단장(56·육군 중장·육사 48기)을 낙점했다.
지상작전사령관에는 주성운 1군단장(54·육군 중장·육사 48기)이, 제2작전사령관에는 김호복 지작사 부사령관(55·육군 중장·3사 27기)이 임명될 예정이다.
국방부는 “이번 인사는 국가와 국민에 대한 충직한 사명감으로 임무를 수행하며 강력한 국방 개혁을 선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과 전문성을 우선 고려했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정부도 2023년 10월 육·해·공군 4성 장군 7명을 일괄 교체했는데, 김명수 합참의장(58·해군 대장·해사 43기) 등 당시 임명된 대장들이 2년 만에 나란히 옷을 벗게 된 셈이다.
당초 정부 내에선 계엄 사태로 불안정한 군 조직을 전방위로 흔들면 사기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나왔다고 한다. 하지만 결국 대장 7명을 모두 교체한 건 ‘계엄에 가담한 군’과 단절하는 데 무게를 둔 이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란 해석이 군 안팎에서 나온다.
육군 몫 대장 4명 가운데 3명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채워졌다. 앞서 여당에서는 계엄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 육사 출신 장성이 있어선 안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합참의장으로 지명된 진영승 사령관은 역대 네 번째 공군 출신 의장이다. 작전·기획통인 진 사령관은 공군 제19전투비행단장·공군 공중전투사령관·합참 전략기획본부장 등을 지냈다. 진 사령관은 육군총장으로 내정된 김 사령관과 육·공사 기수 상 동기다. 김 사령관은 수도방위사령관, 지작사 부사령관 등을 지냈다. 이번에 내정된 7명 가운데 합참의장은 인사청문회를 거쳐 임명되며, 나머지 6명은 2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이 대통령이 임명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