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맨날 삼각김밥만”…편의점이 살렸다
-
4회 연결
본문

24시간 불을 밝히는 동네 편의점이 어려운 이웃을 찾아내는 ‘마을의 눈’ 역할을 하고 있다. 도움이 필요해 보이는 손님을 발견하면 점주가 포스기 화면의 신고 버튼을 눌러(아래 사진) 구청에 알리는 방식이다. 울산 남구에서 사업 시작 10개월 만에 10가구 이상의 ‘위기 이웃’이 도움을 받았다. [사진 울산 남구]
지난 7월 말 울산 남구 선암동의 한 편의점. 매일 같은 시간, 삼각김밥 하나만 집어 들던 60대 여성이 또 계산대 앞에 섰다. 몇 달째 같은 모습을 지켜본 50대 점주 김모씨는 계산대 포스기 화면 속 ‘신고 버튼’을 누른 뒤 구청에 전화를 걸었다. “손님이 계속 삼각김밥만 사 가세요. 무슨 사정이 있으신 것 같아 연락드립니다.”
현장에 나온 구청 직원이 여성의 안타까운 사정을 확인했다. 남편을 잃고 우울증을 앓고 있었고, 스스로 식사를 챙기지 못해 편의점 삼각김밥으로 끼니를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이 여성은 이후 음식 바우처를 지급 받고 복지사의 관리도 받으며 잃었던 웃음을 되찾아가고 있다.
24시간 불을 밝히는 동네 편의점이 어려운 이웃을 찾아내는 ‘마을의 눈’ 역할을 하고 있다. 울산 남구가 지난해 11월 시작한 ‘편의점 위기 이웃 발굴 사업’이다. 점주가 도움이 필요해 보이는 손님을 발견하면 포스기 화면의 신고 버튼을 눌러 구청에 알린다. 신고가 접수되면 공무원이 현장을 찾아가 상담하고,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24만원 상당의 바우처(CU편의점 사용)를 지급한다. 바우처 사용 내용을 분석해 세분화된 추가 지원도 한다. 바우처로 약을 많이 사는 주민에게는 의료 지원을, 식품을 자주 사는 주민에게는 음식 지원을 강화하는 식이다.

24시간 불을 밝히는 동네 편의점이 어려운 이웃을 찾아내는 ‘마을의 눈’ 역할을 하고 있다. 도움이 필요해 보이는 손님을 발견하면 점주가 포스기 화면의 신고 버튼을 눌러 구청에 알리는 방식이다. 울산 남구에서 사업 시작 10개월 만에 10가구 이상의 ‘위기 이웃’이 도움을 받았다. [사진 울산 남구]
지난 10개월 동안 이 사업을 통해 10가구 이상이 새롭게 도움을 받았다. 한 달에 한 번꼴로 편의점에서 ‘위기 이웃’을 발견한 셈이다.
발견된 이들의 사연도 다양하다. 출·퇴근길 편의점을 찾던 40대 손님이 갑자기 낮에 술과 라면을 사기 시작했다. 점주의 신고로 확인해 보니, 실업급여가 끊겨 생계가 막막해진 상태였다. 계산대 앞에서 돈이 부족해 물건을 못사고 내려놓던 50대 여성은 뇌경색 후유증에 보이스피싱 피해로 빚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들은 각각 주거급여 등을 지원받아 안정을 되찾았다. 희귀질환과 부상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웠던 40대 여성, 암 투병 중인 남편을 돌보던 60대 부부, 형제를 잃고 외로움에 시달리던 70대 독거노인도 편의점의 ‘눈’에 띄어 도움을 받았다.
이 사업은 울산 남구청 복지지원과 김아영 주무관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그는 “편의점은 간단히 끼니를 해결하러 자주 찾는 곳이라 (이웃의) 작은 변화를 가장 먼저 알아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CU 본사가 사업 취지에 공감해 참여를 결정했고, 현재 남구 전역의 100여 개 CU 편의점이 ‘복지 지킴이’로 활동 중이다. 대전 유성구 등 다른 지자체가 벤치마킹을 검토 중이라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점주들 반응도 긍정적이다. 울산 남구 CU수암신선점의 변명숙 점주는 “예전에는 힘들어 보이는 손님이 있어도 방법을 몰라 걱정만 했는데, 이젠 버튼 하나로 도울 수 있어 한결 마음이 놓인다”고 말했다. 남구 주민 김정숙(66)씨는 “편의점이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니라, 동네를 지켜주는 눈이 되고 있다니 뿌듯하다”고 말했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편의점 위기 이웃 발굴 사업은 행정이 놓치기 쉬운 작은 신호를 주민들과 함께 발견해내는 새로운 복지 모델”이라며 “위기 이웃이 고립되지 않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