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이번엔 마약 감기약, 고교생도 끼었다…'환각 놀이' 빠진 MZ

본문

17567904707249.jpg

SNS로 알게 된 10~20대들이 오프라인에서 만나 마약성 의약품을 술과 함께 과다 복용하며 환각파티를 하고 있다. 사진 부산본부세관

해외 직구로 마약성 의약품을 수차례 밀수입하고, 복용 방법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20대 2명과 10대 1명이 세관 당국에 잡혔다.

관세청 부산본부세관은 마약성 의약품을 국제우편을 통해 밀수입한 3명을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2일 밝혔다.

부산세관에 따르면 부산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A씨(23)는 미국, 일본 등에서 코데인 및 덱스트로메토르판이 함유된 감기약 등 마약성 의약품 총 2188정을 구입해 17회에 걸쳐 국제우편으로 밀반입했다. A씨는 환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마약성 의약품을 한 번에 최대 100정(1회 복용량 1정)까지 복용하기도 했다.

또 A씨는 10·20대 또래 집단이 모인 SNS 비공개 단체 채팅방에 마약성 의약품 밀수수법과 과다복용하는 일명 ‘오디(OD, OverDose)’ 방법 등을 공유했다. 또 복용 후 남은 의약품을 판매하는 창구로도 활용했다.

SNS로 밀수 방법·환각 극대화 공유…오프라인서 환각파티

부산세관은 A씨의 진술과 휴대폰 포렌식 분석으로 A씨와 똑같은 수법으로 마약성 의약품을 밀수입하고 복용한 B씨(22)와 C씨(17)를 추가로 적발했다. 이들 모두 채팅방에서 만난 사이였다.

B씨는 마약성 의약품 총 1688정을 11회에 걸쳐 분산 밀반입했다. 세관에 적발돼 1차 조사를 받고 난 후에도 다른 비공개 채팅방으로 옮겨 활동을 이어갔다고 한다. 고등학생인 C씨 역시 다수의 마약성 의약품을 밀반입하다 적발됐다. C씨는 중학생 때부터 마약성 의약품 관련 SNS를 접해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마약성 의약품을 분말화해 코로 흡입하거나 일반의약품·식품과 혼합 복용해 환각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 등을 채팅방에서 공유했다. 또 오프라인에서 만나 술과 함께 마약성 의약품을 과다복용하는 ‘환각 파티’를 열기도 했다.

10~20대 마약사범 급증…마약 노출 연령 점차 낮아져 

마약 거래장이 SNS로 옮겨오면서 10대~20대 마약사범의 비중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손쉬운 비대면 SNS 거래를 틈타 10~20대가 마약 범죄의 타깃이 된 결과다.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에 따르면 2023년 1∼10월까지 단속된 마약사범 2만2393명 가운데 10대는 1174명, 20대는 6580명으로 전체 마약사범의 34.6%를 차지했다. 2022년 같은 기간 10~20대 마약사범이 5041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53.8% 늘었다.

지난 8월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가 마약을 매수·투약한 129명을 검거했는데 이 가운데 20대가 74명으로 가장 많았다. 10대도 2명 포함됐다. 대구에서 2022년부터 올해 6월까지 검거된 마약사범 2200여명 가운데 20대가 722명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이어 30대가 412명, 10대는 85명으로 세 번째로 많았다.

부산세관 관계자는 “해외 직구와 SNS 활성화로 마약류에 대한 정보가 10·20대 사이에서 쉽게 공유되고, 마약류에 처음 노출되는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다”며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환각 놀이’는 심각한 마약류 중독과 처벌로 이어진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3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