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직장인 23%,성범죄 신고 후 불이익·보복 우려…"조국혁신당도 떠나"
-
1회 연결
본문

직장인 5명 중 1명은 직장 내 성범죄 피해 신고 후 불이익과 보복을 우려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지난 7월 1~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진행한 ‘직장 내 성범죄 위험 관련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직장 내 성범죄 신고 후 정상적 생활이 어려울 것 같다’와 ‘가해자로부터 보복을 당할 것 같다’에 각각 23.1%, 20.7%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비상용직은 평균보다 높았다. ‘불이익’은 여성 30.9%·비상용직 28.3%, ‘보복 우려’는 여성 27.5%·비상용직 25.8%였다.
또 직장인의 21.3%는 가해자에게 합당한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18%는 신고 후에도 직장 내 성범죄가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신고 이후 ‘신고자 신원이 노출될 것 같다’는 문항에는 25.9%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은 34.5%가 답변해 남성(18.2%)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직장갑질119는 “한국 사회의 직장은 여전히 성범죄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공간이고 성범죄는 여성, 비정규직과 같은 구조적 약자에게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제도와 현실이 괴리된 이런 상황에서 직장 안 성범죄 신고는 결코 합리적 선택이 될 수 없다”면서 “특정 가해자만을 문제 삼는 데서 멈춘다면, 동일한 환경에서 또 다른 가해자와 피해자가 언제든 만들어질 수 있다”고 했다.
또 “최근 조국혁신당 성폭력·괴롭힘 사건에서도 피해자는 2차 피해와 당의 방치 속에 끝내 조직을 떠나야 했다”라며 “민주주의의 토대를 이루는 핵심 기관인 정당 안에서까지 피해자가 침묵하거나 조직을 떠나는 방식으로 사건이 마무리되는 것은 사회 전체의 퇴행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 표본은 경제활동인구조사 취업자 인구 비율을 기준으로 비례층화표집법이 사용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