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엄마가 아들에게 감추려 했던 비밀은...영화 '비밀일 수밖에'
-
3회 연결
본문

영화 '비밀일 수밖에'의 정하(장영남, 오른쪽)와 지선(옥지영)은 동성 연인 사이다. 사진 슈아픽처스, AD406
영화 '비밀일 수밖에'(10일 개봉)는 현실적인 가족 얘기를 다룬 블랙 코미디다.
봉준호 감독은 이 영화를 "한국적 캐릭터 묘사의 달인 김대환 감독이 새롭게 엮어낸 명랑 가족 드라마"라고 평했다. 김대환(40) 감독은 '기생충' 각색에 참여하며 봉 감독과 인연을 맺었다.
영화 '비밀일 수밖에' 김대환 감독 인터뷰
영화의 내용은 이렇다. 강원도 춘천의 고교 미술 교사 정하(장영남)는 남편과 사별한 뒤 동성 연인 지선(옥지영)과 동거를 하던 중, 유방암 진단을 받고 휴직한다. 캐나다에서 일하던 아들 진우(류경수)가 결혼을 약속한 여자친구 제니(스테파니 리)를 집에 데려오고, 설상가상으로 제니의 부모까지 예고 없이 들이닥치면서 정하의 일상에 균열이 가기 시작한다. 예비 사돈과의 불편한 동거는 각자의 비밀을 드러내 갈등을 유발하는 촉매제가 된다.

영화 '비밀일 수밖에'는 자신의 비밀을 감추고 살던 정하(장영남)가 아들 진우(류경수) 커플과 예비 사돈의 갑작스런 방문으로 인해 일상에 균열이 가는 과정을 그린 블랙 코미디다.사진 슈아픽처스, AD406

영화 '비밀일 수밖에'에서 진우(류경수)는 캐나다에서 만난 여자친구 제니(스테파니 리)와 함께 엄마 정하(장영남)의 집을 찾는다. 사진 슈아픽처스, AD406
강원도 배경의 영화 '철원기행'(2016), '초행'(2017)에서 가족과 결혼의 의미를 곱씹게 했던 김 감독은 이번에도 공감 가는 소재와 캐릭터로 작품에 생동감과 온기를 불어넣었다. '나이 들면서 왜 아버지와 소원해지는 걸까?'란 개인적 질문에서 출발한 '가족 탐구'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3일 서울 신촌의 한 카페에서 만난 김 감독은 작품의 출발점을 전작들의 연장선에서 설명했다. "아버지의 이혼 선언('철원기행')과 젊은 세대의 결혼('초행')을 다뤘으니, 이번엔 재혼을 키워드로 한 작품을 만들고 싶었어요. 어머니가 중심인 작품을 고향인 춘천에서 찍고 싶었습니다."

영화 '비밀일 수밖에'를 연출한 김대환 감독. 사진 정현목 기자
어떤 재혼을 그릴까 고민하던 그의 눈에 운명처럼 한 신문 기사가 들어왔다. 아들 둘을 키운 사회운동가 어머니가 커밍아웃을 한 뒤 여자친구와 살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커밍아웃한 자식이 부모와 갈등을 겪는 내용의 작품은 많지만, 그 반대는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얘기가 될 거라 확신한 김 감독은 기사의 주인공을 직접 만났다.
그리고 모자 관계를 중심으로 캐릭터를 구축했다. 정하는 자신의 성 정체성과 암 투병 사실을, 진우는 직장을 그만두고 유튜버를 준비 중이란 사실을 서로에게 감춘다.
정하의 대척점에 있는 캐릭터는 제니의 아버지 문철(박지일)이다. 가부장제에 찌든 그가 성소수자 사돈을 받아들일 리 만무하다. 문철의 아내 하영(박지아)은 '꼰대' 남편이 못마땅하고, 제니는 아버지와 의절하다시피 한 사이다.
'철원기행'이 한 가족이 아버지 관사에 머물며 생기는 갈등, '초행'이 결혼 예정 커플이 양가를 오가면서 겪는 불편한 상황을 그렸다면, 이 영화는 예비 사돈의 예고 없는 방문으로 빚어지는 불편함과 갈등이 중심 정서다.
예비 사위에 대한 불만, 혼수 문제, 문철의 '꼰대' 성향 등으로 쌓여가던 갈등과 속내가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한 순간에 터져 나오면서 영화는 파국으로 치닫는다. 김 감독은 "혐오와 불통이 넘쳐 나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가족 내 갈등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난장판을 겪고도 아무 일 없었던 듯 무덤덤하게 각자의 자리로 돌아가는 결말은 어정쩡한 봉합이라기보다는 서로간의 이해가 깊어지는 출발점이라고 김 감독은 설명했다.

영화 '비밀일 수밖에'에서 정하(장영남)는 아들 진우(류경수)에게 자신의 성 정체성과 암 투병 사실을 숨긴다. 사진 슈아픽처스, AD406
"'가족은 왜 가장 가까운 타인이어야 할까'란 질문을 던지는 영화예요. 사랑한다는 이유로 간섭하고 옭아매는 것보다 영화 대사처럼 '알아서 잘 살게 놔두는' 게 슬기로운 가족 관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그는 또 "관객들이 영화를 보고 그간 터놓지 못했던 고민과 서운함을 가족과 나누며 홀가분해졌으면 좋겠다"면서 "영화 속 새로운 가족의 형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로써 '가족 탐구' 시리즈를 완결한 김 감독은 차기작으로 비무장지대(DMZ)에 위치한 대성동 마을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구상 중이다.
"가족 얘기는 세 작품을 통해 충분히 했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를 끝내고 나니 홀가분한 기분이 들더군요. 제가 군 생활을 한 대성동 마을은 굉장히 특수한 공간입니다. 그 곳에서 벌어지는 남녀 간의 얘기를 그려보려 합니다."

영화 '비밀일 수밖에' GV(관객과의 대화)에 참석한 봉준호 감독(왼쪽)과 김대환 감독. 사진 슈아픽처스, AD406
댓글목록 0